Redline 자수기에서 프레임 파라미터 완벽 설정 가이드

· EmbroideryHoop
Redline 자수기에서 프레임 파라미터 완벽 설정 가이드
Redline 자수기의 프레임 파라미터를 정확히 설정하면 바늘이 틀을 치는 사고를 예방하고, 디자인이 프레임 정중앙에 딱 맞게 놓입니다. 이 글은 영상의 실제 작업 흐름을 바탕으로 원점 초기화, 종이 템플릿으로 중심 찾기, 프레임 A–F 및 모자 프레임 J의 좌표·작업 영역 입력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왜 프레임 파라미터가 자수 품질을 좌우할까
  2. 시작 준비: 기계를 중립 상태로
  3. 원점(오리진) 보정과 좌표 초기화
  4. 종이 템플릿으로 프레임 ‘실제 중심’ 찾기
  5. 의류 프레임 A–F 값 입력하기
  6. 모자 드라이버(프레임 J) 설정
  7. 마무리 점검과 트러블슈팅

영상 보기: How to Set Up Frame Parameters on Your Redline Embroidery Machine — Redline Embroidery Machines

완벽한 자수는 ‘정확한 프레임 파라미터’에서 시작됩니다. 바늘이 프레임을 치지 않도록, 그리고 디자인이 중앙에 정확히 놓이도록 기계에게 좌표와 작업 영역을 알려줘야 하죠. 이 가이드는 원점 초기화부터 종이 템플릿으로 실제 중심을 찾고, 의류 프레임 A–F와 모자 프레임 J까지 값을 입력하는 과정을 영상 흐름대로 안내합니다.

무엇을 배우게 되나요

  • 원점(오리진) 자동 설정과 좌표 초기화 순서
  • 종이 템플릿으로 실제 프레임 중심을 찾는 간단하지만 정확한 방법
  • 프레임 A–F의 Center X/Y와 작업 영역(X/Y Size) 입력 요령
  • 모자 드라이버(프레임 J) 중심 기준과 권장 작업 영역 설정
  • 안전을 위한 필수 점검과 자주 묻는 문제 해결 가이드

왜 프레임 파라미터가 자수 품질을 좌우할까 프레임 파라미터는 기계가 “어디까지 움직여도 안전한지”를 아는 기준선입니다. 설정이 틀리면 바늘이 프레임을 때리거나, 디자인이 치우치고, 트레이싱/아웃라인 시 경계를 넘어갈 수 있습니다. 올바른 좌표와 작업 영역을 한 번 저장해두면, 다음부터는 해당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일관된 퀄리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Embroidery machine control panel showing a red 'X' over the frame icon, indicating no frame is selected.
The first step is to ensure no frame is selected. The red 'X' on the screen confirms the machine is in a neutral state, ready for parameter setup.

프로 팁

  • 프레임 실제 크기와 작업 가능한 영역은 다릅니다. 가장자리 여유를 남겨 노루발과 프레임의 충돌을 피하세요.
  • 좌표는 기계마다 미세하게 다를 수 있으므로 영상의 방법대로 직접 측정해 입력합니다.

시작 준비: 기계를 중립 상태로 첫 단계는 어떤 프레임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중립’입니다. 화면의 프레임 아이콘에 빨간 X가 보이면 ‘No Frame’ 상태입니다. 만약 프레임이 선택되어 있다면 화면 하단에서 프레임 아이콘을 눌러 ‘Frame Select’로 들어가 화살표로 ‘No’를 선택 후 확인하세요. 이 상태에서 시작하면 이후 측정·입력이 깔끔해집니다.

A finger pressing the number '1' on the needle selection screen.
To establish a consistent reference, the user selects needle #1. This ensures all subsequent centering measurements are made from the same physical point.

간단 체크

  • 화면에 빨간 X가 보이는가? 보인다면 올바른 시작 상태입니다.

주의

  • 프레임이 선택된 상태에서 작업하면 중심 좌표가 틀어질 수 있습니다.

원점(오리진) 보정과 좌표 초기화 기계의 내부 기준점으로 팬토그래프를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두 번째 메뉴 페이지에서 드라이버+렌치 아이콘(기계 파라미터) → Set Frame Origin → Auto Set Frame Origin을 순서대로 실행하세요. 팬토그래프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합니다.

The 'Set Frame Origin' menu with 'Auto Set Frame Origin' highlighted.
The 'Auto Set Frame Origin' function is selected. This command moves the pantograph to the machine's internal home position, which is a necessary calibration step.

다음으로 메인 화면에서 ‘C’ 버튼을 눌러 좌표를 0,0으로 초기화합니다. 확인을 누르면 X, Y 좌표가 +0.0으로 표시됩니다. 이 상태에서야 실제 프레임 중심 좌표를 정확히 기록할 수 있습니다.

The machine's control panel showing X and Y coordinates reset to zero.
After setting the origin, the user resets the coordinates to zero by pressing the 'C' button. This creates a fresh starting point for measuring the hoop center.

프로 팁

  • 오리진 실행 후 좌표 초기화를 잊지 마세요. 0,0이 아니면 이후 측정값이 모두 틀어집니다.

종이 템플릿으로 프레임 ‘실제 중심’ 찾기 정확한 Center X/Y를 얻는 가장 쉬운 방법은 종이 템플릿입니다. 프레임 안쪽을 종이에 마커로 따서 그린 뒤, 그 원을 깔끔하게 오려냅니다.

A hand tracing the inside of a green embroidery hoop onto a sheet of paper with a black marker.
To find the hoop's physical center, a template is created by tracing the inside of the hoop onto paper. This provide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workable area.

오려낸 종이 원을 반으로 접고 다시 반으로 접어 십자 주름의 교차점을 표시합니다. 그 점이 이 프레임의 ‘실제 중심’입니다.

A hand marking the center of a folded paper circle with a black marker.
After folding the paper cutout twice, the intersection of the creases reveals the exact center. This point is marked to serve as a target for the machine's needle.

프레임을 기계에 장착하고, 종이 템플릿을 안에 넣습니다. 화살표 키로 팬토그래프를 미세 조정해 바늘 #1이 종이에 표시한 중심점 바로 위에 정확히 오도록 맞춥니다.

A person aligning the embroidery machine's needle over the center of the paper template inside a hoop.
The pantograph is moved using the control panel until needle #1 is perfectly aligned over the marked center of the paper template. This step links the physical center to the machine's coordinate system.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X, Y 값을 적어둡니다. 영상 예시에서는 Center X 99, Center Y -51 주변 값이 나옵니다(개체마다 다를 수 있음).

Close-up of the control panel displaying the X and Y coordinates after centering the hoop.
With the needle centered on the template, the machine's screen now displays the precise X and Y coordinates (+99.7, -51.8). These values will be used in the parameter settings.

주의

  • 템플릿을 대충 그리거나 대충 접으면 중심이 어긋납니다. 마커 선을 얇게, 접을 때 가장자리를 정확히 맞춰 접으세요.

간단 체크

  • 바늘 #1이 중심점과 완벽히 일치하는가? 화면의 X/Y 값을 기록했는가?

댓글에서

  • 어떤 분은 고무줄을 프레임 양 끝에 교차해 중심을 찾는 팁을 공유했습니다(비디오에는 나오지 않지만, 중심 찾기의 대안 아이디어로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의류 프레임 A–F 값 입력하기 이제 설정 메뉴로 들어가 기록한 Center X, Center Y와 작업 영역(X/Y Size)을 입력합니다. Settings → Frame Para1 → Clothing Frame A로 이동해 Center X와 Center Y에 앞서 기록한 좌표를 입력합니다. 영상 예시로는 Center X 99, Center Y -51이 사용됩니다.

The frame parameter input screen on the control panel, with fields for Center X, Center Y, and sizes highlighted.
This is the settings screen where the captured coordinates and workable area dimensions are entered. The first two fields are for the center, and the next two are for the embroidery area size.

다음으로 작업 영역을 입력합니다. 전체 프레임 크기에서 가장자리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영상에선 Frame A의 X Size 435mm, Y Size 285mm가 사용됩니다. 이렇게 해야 노루발이 프레임을 치지 않고 안전하게 움직입니다.

A sticker showing the different frame sizes labeled A, B, C, D, and F with their dimensions.
A reference sticker shows the dimensions for different standard frames. Frame B, for example, is 30x30cm, which is used to determine the 'X Size' and 'Y Size' values.

프레임 B(30×30cm)는 전체 300×300mm이지만, 영상에서는 260×260mm로 설정합니다. 프레임 C(19cm)는 170×170mm로 줄입니다. 프레임 C처럼 원형 프레임은 타입을 Circular로 바꿔주는 것을 잊지 마세요. 이후 D, E, F도 같은 Center X/Y를 쓰되 크기만 각 프레임에 맞춰 조정합니다.

The list of clothing frames in the settings, showing that Frame B has been successfully configured.
The settings screen now shows the values for Frame B (99/-51 for center, 260/260 for size). The process is then repeated for the other frames.

프로 팁

  • cm → mm 변환은 10을 곱하면 끝. 하지만 그대로 입력하지 말고 가장자리 여유(약 20mm)를 남기세요.

주의

  • 원형 프레임을 Rectangle로 두면 작업 경로 예상이 어긋날 수 있습니다. 타입을 꼭 Circular로 변경하세요.

간단 체크

  • Frame A: Center X 99, Center Y -51, X 435, Y 285
  • Frame B: X/Y 260
  • Frame C: X/Y 170(원형)
  • Frame D: X/Y 130
  • Frame E: X/Y 100
  • Frame F: X/Y 70

마이크로 인사이트

  • 영상에는 G, H, I 프레임 설정이 나오지 않습니다(애프터마켓용으로 별도 취급).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참조 차트가 기계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확인하세요.

모자 드라이버(프레임 J) 설정 모자 드라이버는 의류 프레임과 절차가 조금 다릅니다. 가장 중요한 보안 수칙은 ‘튜블러 암을 제거한 상태에서 Auto Set Frame Origin을 먼저 실행’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 좌표를 0,0으로 초기화합니다. 그런 다음에야 모자 드라이버를 장착합니다.

The 'Set Frame Origin' option highlighted on the screen, being selected before cap driver setup.
Before setting up the cap driver, the tubular arms are removed, and another 'Auto Set Frame Origin' is performed. This is crucial for establishing the correct baseline for the cap system.

드라이버를 팬토그래프에 끼우고 고정한 뒤, 바늘이 바늘판의 두 나사 사이(뒤쪽 나사 쪽으로 약간 치우친) 기준점에 오도록 팬토그래프를 이동시킵니다. 이때의 X, Y 값을 기록합니다.

A person installing the cap driver attachment onto the embroidery machine's pantograph.
After setting the origin, the cap driver is installed onto the machine. It slides onto the pantograph and is secured in place.

설정 경로는 Settings → Frame Para1 → Hat Frame J입니다. 영상 예시에서는 Center X 100, Center Y 33, X Size 365, Y Size 65가 입력됩니다. 모자에서는 Y Size를 과하게 키우면 디자인이 캡 경계를 넘어갈 수 있으므로 보수적으로 시작하세요.

A close-up of the cap driver with a red line indicating the needle's target position between two screws.
The pantograph is moved to align the needle with the center of the cap frame. The video suggests a reference point just behind the center between the two plate screws.

값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모자 드라이버 설정이 완료됩니다.

The parameter input screen for the 'Hat Frame J' with empty fields ready for data entry.
Finally, the coordinates and dimensions for the cap driver are entered into the 'Hat Frame J' settings page. This completes the full frame parameter setup.

프로 팁

  • 모자에서는 Y 방향 곡면 때문에 과대 설정 시 흔들림이나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65mm 같은 보수적 값으로 테스트 스티치를 먼저 권장합니다.

간단 체크

  • 튜블러 암 제거 → Auto Origin → 좌표 0,0 → 드라이버 장착 → Center X/Y 측정 → Hat Frame J에 입력

마무리 점검과 트러블슈팅 체크리스트

  • 프레임 미선택(빨간 X) 상태에서 시작했는가?
  • 바늘 #1을 기준으로 모든 측정을 했는가?
  • Auto Set Frame Origin 후 좌표를 0,0으로 만들었는가?
  • 종이 템플릿으로 측정한 Center X/Y를 모든 프레임에 일관되게 적용했는가?
  • 작업 영역(X/Y Size)은 프레임 실치수보다 작게 입력했는가?

자주 겪는 질문 및 힌트

  • Set Frame Origin이 비활성/차단: 영상과 동일한 경로(두 번째 메뉴 페이지의 기계 파라미터 → Auto Set Frame Origin)를 확인하세요. 메뉴 접근이 막히는 경우가 보고되었으나, 영상은 정상 경로를 보여줍니다.
  • Auto Origin 시 측면 충돌/서보 에러: 영상에서는 충돌 사례가 다뤄지지 않습니다. 오리진 실행 전 프레임·부속물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기계의 기계적 제한과 센서 상태 점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Home(0/0) 이동 시 경계 이탈: 오리진 재설정과 좌표 초기화가 선행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오리진이 바뀌면 0/0 기준점도 달라집니다.

댓글에서 얻은 추가 인사이트

  • 프레임/봉제 헤드 수 표시가 변경되었다는 모니터 설정 이슈가 보고되었지만, 영상에서는 해당 설정 경로를 다루지 않습니다.
  • 일부 사용자는 더 큰 특수 프레임(예: 1200×500)에 대한 파라미터를 문의했으나, 영상에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원칙(실제 중심 측정 → 가장자리 여유 확보)을 적용해 안전한 값을 찾으세요.
  • 제조사 부착 차트: 한 사용자가 차트 부재를 지적했으나, 제조사 측 답변에 따르면 구매 시 기계에 참조 차트가 부착되어 제공된다고 합니다.

작업 흐름 요약 1) 프레임 미선택(빨간 X) 상태로 전환 2) 바늘 #1 선택 3) Auto Set Frame Origin 실행 → 좌표 0,0 초기화 4) 종이 템플릿으로 프레임 실제 중심 찾기 → X/Y 좌표 기록 5) 프레임 A–F에 Center X/Y와 작업 영역 입력(원형은 Circular) 6) 모자 드라이버는 튜블러 암 제거 후 Auto Origin → 좌표 0,0 → 장착 → 중심 좌표 측정 → Hat Frame J에 입력

실전 팁으로 마무리

  • 테스트 스티치: 각 프레임 설정 후 가장 자리 근처를 트레이싱(Trace)해 노루발 간섭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 프레임별 프리셋 메모: Center X/Y는 기계·장착 상태에 따라 조금 변할 수 있으니, 최종 확정값을 프레임 라벨에 메모해두면 재현성이 높아집니다.
  • 한 번 설정하면 끝: A–F, J까지 저장해두면 현장에서 프레임만 선택해 바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양한 브랜드의 프레임·자석 프레임을 운용하는 분이라면 용어를 통일해 두면 검색과 문서화가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tajima 자수틀 사용자와 barudan 자수틀 사용자가 같은 ‘센터 좌표’와 ‘작업 영역’ 개념을 공유하면 협업과 문제 해결이 빨라집니다.

또한 모자 프레임, 포켓 프레임 등 특수 프레임을 병행할 경우, 장착 전 항상 오리진 재설정과 좌표 초기화를 습관화하세요. 이는 swf 자수 기계 자수틀이나 ricoma 자수틀처럼 다양한 시스템을 운용하는 분들에게도 공통적으로 유효한 원칙입니다.

마지막으로, 큰 작업 영역을 다루는 프레임을 쓰신다면 범용 팁을 기억하세요: ‘실측 중심 → 보수적 작업 영역 → 트레이스 검증 → 단계적 확대’. 이 보수적 접근이 서보 에러나 충돌을 예방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mighty hoop tajima 같은 강자성 프레임도 원리는 같습니다. 중심과 경계의 ‘보수적 검증’을 반복하는 습관이 곧 장비 수명과 품질 안정으로 이어집니다.

브랜드를 넘나드는 검색 팁

  • “센터 좌표”, “오리진”, “작업 영역”이라는 키워드를 함께 기록해두면, bernina 자석 자수틀이나 brother 자수 기계 관련 문서에서도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안전 고지 메모

  • 본 가이드의 수치들은 영상의 예시일 뿐이며, 여러분의 기계와 장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종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반드시 트레이스와 테스트 스티치로 안전 범위를 검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