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바늘 작품에 이름 넣기: 백스티치와 서피스 슬립스티치 2가지 방법

· EmbroideryHoop
코바늘 작품에 이름 넣기: 백스티치와 서피스 슬립스티치 2가지 방법
이 튜토리얼은 코바늘 작품에 이름이나 단어를 간단하게 새기는 두 가지 방법을 보여줍니다. 사라지는 잉크 펜으로 원하는 레터링을 그린 뒤, 태피스트리 바늘로 백스티치를 하거나 코바늘로 서피스 슬립스티치를 해 보세요. 베개, 담요, 스웨터 등 다양한 작품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창의적인 커스터마이징에 딱 맞습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왜 코바늘 작품에 이름을 넣을까요?
  2. 준비물과 레터링 가이드 그리기
  3. 방법 1: 태피스트리 바늘로 백스티치
  4. 방법 2: 코바늘로 서피스 슬립스티치
  5. 마감과 뒷면 정리 아이디어
  6. 응용 아이디어: 이름을 넘어 문장과 모티프까지
  7. 간단 체크
  8. 프로 팁
  9. 주의
  10. 댓글에서: 실전 Q&A 모음

영상 보기: “How to Write a Name on Any Crochet Project” — CJ Design

누구나 갖고 싶은 ‘내 이름이 들어간’ 손뜨개. 이 영상은 코바늘 작품 어디든 이름을 깨끗하고 또렷하게 새기는 두 가지 방법을 알려줍니다. 베개든 담요든, 선물에 마음을 담는 가장 빠른 길이죠.

무엇을 배우나요?

  • 사라지는 잉크 펜으로 레터링 가이드를 안전하게 그리는 법
  • 태피스트리 바늘을 활용한 백스티치 레터링의 요령과 속도 팁
  • 코바늘 훅으로 완성하는 서피스 슬립스티치(표면 짧은뜨기)의 흐름
  • 큰 작품과 작은 작품에서 각각 편한 방식 고르는 기준
  • 깔끔한 마감과 뒷면 정리 아이디어

왜 코바늘 작품에 이름을 넣을까요? 이름 한 줄이 작품의 성격을 단번에 바꿔줍니다. 아기 담요, 기념 베개, 가족 이니셜 쿠션… 작품이 일상 속 주인공이 되죠. 특히 영상을 만든 작가는 베개 커버에 ‘Isabella’를 넣어 완성 예를 보여주는데, 입체적인 질감 덕분에 멀리서도 선명합니다.

Finished green crochet pillow with 'Isabella' stitched in cream yarn and two small flower appliqués.
A beautiful green crocheted pillow featuring the name 'Isabella' in raised cream yarn, flanked by two small flower appliqués. This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the personalization techniques.

준비물과 레터링 가이드 그리기 필요한 것들은 단출합니다. 바탕이 될 코바늘 원단(베개·담요·스웨터 등), 사라지는 잉크 마킹 펜, 태피스트리 바늘 또는 코바늘, 레터링에 사용할 실, 가위. 평평한 작업대 위에 작품을 펼쳐 주세요.

A crocheted piece of fabric (likely a pillow cover) in a light cream color, laid flat on a surface.
The base fabric for the project, a cream-colored crocheted piece, is laid out. This will be the canvas for adding the name.

사라지는 잉크 마킹 펜 이 펜은 공기나 물에 닿으면 흔적이 사라져 연습과 수정이 안전합니다. 펜 종류에 따라 지워지는 속도가 다르므로, 영상처럼 금방 옅어지면 같은 선을 한두 번 더 덧그려 선명도를 확보하세요.

A disappearing ink marking pen with a purple cap in its packaging.
A disappearing ink marking pen is shown in its packaging. This tool is crucial for drawing the name outline without leaving permanent marks.

레터링 초벌 스케치 원하는 서체를 정해 작품 위에 직접 그립니다. 필기체는 곡선이 많아 부드럽고 예쁘지만, 고딕체·숫자·기호도 모두 가능합니다. 펜 선은 ‘레터링 바늘길’의 길잡이. 나중에 실이 지나갈 정확한 루트가 됩니다.

A hand using a disappearing ink pen to draw a letter 'L' on the cream crochet fabric.
The hand begins to write the letter 'L' on the crochet fabric using the disappearing ink pen. This initial step creates the guide for the subsequent yarn work.

도구 선택: 바늘 vs. 코바늘 두 방법 모두 결과는 입체적 레터링입니다. 태피스트리 바늘로는 자수의 ‘백스티치’를, 코바늘로는 ‘서피스 슬립스티치’를 사용합니다. 손에 익은 도구, 작품 크기, 선호하는 작업 리듬에 따라 골라보세요.

A tapestry needle and a crochet hook side-by-side.
Both a tapestry needle and a crochet hook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tools for the stitching process. The viewer can choose based on preference for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실 고르기 바탕과 대비되는 색일수록 레터링이 또렷합니다. 굵기는 바탕의 게이지에 맞추되, 너무 두꺼우면 섬세한 곡선 표현이 어렵고, 너무 얇으면 존재감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도톰한 실로 포근한 질감을 살렸습니다.

A ball of teal-colored chunky yarn.
A bundle of teal-colored chunky yarn is displayed. This is the yarn chosen for writing the name, contrasting with the cream fabric.

방법 1: 태피스트리 바늘로 백스티치 백스티치는 자수의 기초이자, 코바늘 원단 위에서도 매끈하게 이어지는 선을 만들기 좋습니다.

A hand threading a tapestry needle with blue yarn.
The blue yarn is being threaded through the eye of a tapestry needle. This is a preparatory step for the back stitch method.

1) 시작하기 실을 바늘귀에 끼우고, 글자의 시작점 아래에서 바늘을 위로 빼 올립니다. 다시 같은 구멍(혹은 아주 가까운 자리)로 내려 찌르고, 한 땀 앞 지점에서 바늘을 다시 위로 꺼냅니다. 이렇게 첫 ‘스텝’을 정하면서 스티치 길이를 결정합니다.

A tapestry needle bringing blue yarn up through the cream crochet fabric.
The tapestry needle emerges from the bottom of the fabric, pulling the blue yarn through to the front. This is the start of the first back stitch.

2) 루프 요령 실을 당겨 표면에 작은 고리를 만들고(혹은 미리 고리 상상선을 잡고), 방금 끝낸 자리로 바늘을 넣었다가 또다시 한 땀 앞에서 바늘을 올립니다. 이때 바늘이 고리 안을 지나가도록 하면 일정한 라인을 만들기 쉬워집니다.

A hand forming a loop of blue yarn on the fabric before inserting the needle.
A loop of blue yarn is pre-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This technique makes the back stitch easier and more consistent.

3) 속도와 일정함 곡선은 스티치를 짧게, 직선은 중간 길이로 유지하면 선이 매끈합니다. 천천히 작품을 돌려가며 글자의 흐름을 따라가세요. 실이 길면 엉킴이 생길 수 있으니 중간중간 매무새를 정리합니다.

Completed back stitch segments forming part of a letter, with hands adjusting the yarn.
Several back stitch segments are completed, forming a distinct part of the letter. The hands adjust the yarn, showing how the stitches build up to create the lettering.

4) 한 글자 완주 같은 과정을 반복해 글자 전체를 둘러 완주합니다. 너무 힘껏 당기면 원단이 울 수 있으니, 표면에 실이 가만히 눕는 정도의 장력을 유지하세요.

  • 프로 팁: 도안에 따라 스티치 길이를 조금씩 가변하면 ‘곡선의 둥글림’이 더 자연스럽게 살아납니다. 또한, 동일한 길이로만 고집하기보다 글자의 코너와 곡선에서 길이를 섞으면 선의 리듬이 좋아집니다.
  • 주의: 스티치가 지나치게 길면 모서리에서 빈틈이 생기기 쉽습니다. ‘중간 길이’를 기본값으로 두고, 코너에 추가 보정 땀을 넣어 보세요.

방법 2: 코바늘로 서피스 슬립스티치 코바늘 훅으로 작품의 표면에 ‘짧은뜨기-빼뜨기’와 같은 흐름을 그리며 레터링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익숙해지면 속도가 빠르고, 연속된 선이 부드럽게 이어집니다.

A hand holding a crochet hook and bringing a loop of blue yarn through the cream fabric from the back.
A crochet hook passes through the fabric from the back, pulling a loop of blue yarn to the front. This is the preparatory step for the surface slip stitch.

1) 루프를 앞으로 끌어오기 글자 시작점에서 훅을 뒤에서 앞으로 찔러, 뒤쪽 실을 걸어 앞면으로 작은 루프를 꺼냅니다.

A crochet hook performing a surface slip stitch on the cream fabric, following a purple outline.
The crochet hook forms a slip stitch on the surface, following the faint purple outline of the letter. This method creates a continuous, raised line of yarn directly on the fabric.

2) 표면에서의 슬립스티치 그 다음 지점으로 훅을 살짝 앞쪽에 찌르고, 뒤에서 실을 걸어 당겨옵니다. 이미 훅 위에 있던 루프까지 한 번에 빼주면 표면 위에 빼뜨기 한 칸이 생기죠. 이 과정을 따라가며 선을 이어갑니다.

3) 장력과 곡선 루프를 너무 타이트하게 당기지 말고, 표면 위에 매끈하게 ‘눕는’ 정도를 목표로 하세요. 곡선은 지점 간격을 좁히고, 직선은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균형이 좋습니다.

A section of blue yarn creating a raised line on the fabric using the surface slip stitch method.
A section of blue yarn forms a raised line on the fabric, clearly showing the continuous texture created by the surface slip stitch. This technique builds the letter directly on top of the fabric.

4) 작품 돌리기 요령 영상에서도 언급되듯 이 방법은 작품을 자주 돌리게 됩니다. 소형 베개 커버처럼 손에 잡히는 사이즈에선 매우 편하고 빠르지만, 아주 큰 담요에서는 바늘 방식이 더 수월할 수 있습니다.

A hand continuing to work the surface slip stitch with a crochet hook, forming a 'U' shape.
The hand continues to work the surface slip stitch, showing the progress in forming the letter 'U'. The technique allows for smooth curves and shapes, following the drawn outline.

5) 글자 마감 한 글자가 끝나면 실을 자르고 마지막 루프를 뒤로 빼서 숨깁니다. 뒤쪽에서 바늘이나 훅으로 같은 자리로 통과시켜 고정하고, 적당히 매듭지어 마감합니다.

A hand securing the end of the blue yarn after completing a letter, by pulling it to the back.
After completing a letter, the yarn end is pulled through to the back of the fabric using a tapestry needle or crochet hook. This prepares it for tying off and securing.

마감과 뒷면 정리 아이디어 영상 속 베개는 뒷모습 신경을 덜 써도 되는 사례입니다. 그러나 양면이 보이는 담요라면 다음을 고려하세요.

  • 매듭은 같은 색의 실 길이로 두 번 묶어 작게 정리하고, 인접한 코 사이로 실을 통과시켜 숨깁니다.
  • 뒷면을 최대한 깔끔히 하고 싶다면, 레터링을 별도의 작은 원단 조각(혹은 코바늘 띠)에 먼저 만든 뒤 작품에 꿰매 붙이는 방법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시청자 팁 기반).

간단 체크

  • 펜 선이 흐려졌나요? 같은 선을 한두 번 덧그려 작업 중에도 길을 잃지 않도록 합니다.
  • 실 장력이 일정한가요? 울음 없이 표면에 매끈히 누워야 합니다.
  • 글자 간격과 높이가 균일한가요? 중간중간 전체 균형을 확인하세요.

프로 팁

  • 필기체를 쓸 땐, 글자 연결 지점에서 스티치 간격을 조금 더 촘촘하게 잡으면 곡선이 부드럽습니다.
  • 담요처럼 큰 작품은 바늘 방식(백스티치)이 전체 동선 관리가 쉬울 수 있어요. 작은 베개·파우치는 코바늘 방식으로 속도를 내 보세요.
  • 대비색을 쓰되, 지나치게 보풀이 많은 실은 시인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촘촘한 표면엔 약간의 윤기가 있는 실이 또렷합니다.

주의

  • 사라지는 펜은 제품별로 지워지는 메커니즘(공기/물)이 다릅니다. 테스트 후 사용하세요.
  • 너무 길거나 헐거운 스티치는 걸림과 변형의 원인이 됩니다. 중간 길이, 일정한 텐션을 기본값으로.
  • 코바늘 방식에서 훅 사이즈는 영상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바탕 게이지에 맞는, 편하게 잡히는 훅을 권합니다(정보 비제시).

응용 아이디어: 이름을 넘어 문장과 모티프까지

  • 이니셜 + 작은 하트/별 모양: 시작과 끝에 아이콘을 배치하면 시선이 고정됩니다.
  • 짧은 문장(예: HOME, LOVE): 대문자 고딕체로 굵고 명확하게.
  • 날짜/숫자: 기념일과 함께 선물의 의미를 더하세요.
  • 비코바늘 원단에도 적용 가능: 영상에서 “반드시 코바늘이 아니어도 된다”고 안내합니다. 다만 구멍이 매우 큰 메쉬는 선이 흐트러질 수 있어요.

댓글에서: 실전 Q&A 모음

  • 분필이나 초크를 써도 될까요? 영상 댓글에서 제작자는 ‘실 위에 오래 남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사라지는 잉크 펜을 권장합니다.
  • 훅 사이즈가 중요할까요? 영상 내 구체 사이즈 표기는 없습니다. 바탕 게이지와 손땀에 맞춰, 표면에서 루프가 무리 없이 움직이는 크기를 선택하세요(정보 비제시).
  • 뒷면을 예쁘게 하는 법? 제작자는 담요를 ‘항상 올바른 면으로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시청자는 레터링을 별도 띠에 만든 뒤 덧대거나 더블 보더 내부에 숨기는 아이디어를 공유했습니다.
  • 어떤 바탕에서도 되나요? 제작자는 ‘구멍/틈이 많지 않은 표면’이면 가능하다고 답변했습니다.

참고 자료와 도구 메모

  • 영상 속 실·바늘·훅의 브랜드/규격은 별도 언급이 없습니다. 집에 있는 도구로 충분히 시작할 수 있어요. 필요하면 테스트 스와치를 만들어 텐션과 길이를 먼저 맞춰보세요.

연습 루틴 제안 1) 연습천에 ‘U, L, S’처럼 곡선과 직선이 섞인 글자를 골라 펜으로 2회 덧그리기. 2) 백스티치로 한 글자 완성 후, 같은 글자를 서피스 슬립스티치로 재현해 결과 비교. 3) 더 잘 읽히는 방향(두께·간격·장력)을 체크하여 최종 작품에 적용.

도안 없는 감각 정렬

  • 기준선 만들기: 얇은 자로 베이스 라인을 아주 옅게 표시하면, 글자 높이가 균일해집니다.
  • 시작-끝 정리: 글자 시작과 끝에서 ‘스티치 길이’를 약간 줄여 급한 시작/마무리 느낌을 완화합니다.

소재별 팁

  • 폭신한 촘촘 조직: 실이 파묻히지 않도록 장력을 한 톤 낮추고 스티치 간격을 촘촘히.
  • 성글성글한 메쉬: 펜 선을 더 굵게 잡고, 스티치 길이를 짧게 쪼개 빈틈을 메웁니다.

미니 체크리스트(작업 중 수시 확인)

  • 펜 가이드가 보이나요? 흐려졌다면 즉시 보강.
  • 스티치 길이와 간격이 반복 패턴을 유지하나요?
  • 코너에서 끊김 없이 회전했나요?
  • 실 꼬임/보풀은 없는가요? 필요 시 잠깐 멈추고 정리.

선물 포장 아이디어 완성한 베개/담요에 작은 태그를 달아 주세요. 레터링 실과 동일 색으로 태그 테두리를 한 땀 둘러주면 통일감이 살아납니다.

참고 검색어 모음

  • 취향에 따라 다른 도구·프레임을 탐색하고 싶다면, 아래 키워드를 찾아보며 정보를 확장해 보세요. 이 글의 핵심 튜토리얼과는 별개이지만, 입문자에게 유용한 용어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석 자수틀
  • bernina 자석 자수틀
  • brother 자수틀
  • janome 자수틀
  • barudan 자수틀
  • dime 자석 자수틀

정리하며 이름 한 줄, 혹은 짧은 단어 하나가 작품을 완성합니다. 사라지는 잉크 펜으로 길을 만들고, 백스티치 또는 서피스 슬립스티치로 질감을 채우세요. 큰 작품엔 바늘, 작은 작품엔 코바늘—두 방식 모두 초보의 손에서도 충분히 아름다운 결과가 나옵니다. 오늘 완성한 한 글자가 내일의 자신감을 키워 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