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영상 보기: Spoon Graphics — How to Create a Colourful Embroidered Patch in Illustrator
한 장의 벡터 배지가 실제 실과 천처럼 살아나는 순간을 보고 싶나요? 이 튜토리얼은 Illustrator에서 국립공원 배지 느낌의 패치를 디자인하고, Photoshop 액션으로 현실적인 자수 질감까지 완성하는 전체 흐름을 보여줍니다. 로고, 팀 배지, 여행 기념 패치까지 — 동일한 원리로 확장할 수 있죠.

무엇을 배우나요
- Illustrator에서 헥사곤 배지 컨테이너를 만들고 다듬는 법
 
- 연필 도구와 도형 트리밍으로 실루엣 풍경과 레트로 스트라이프 하늘 구성
 
- 두 개의 태양, 이중 스트로크 보더, 타이포그래피 정렬과 미세 라운딩
 
- 색상별 병합으로 깔끔한 PSD 내보내기
 
- Photoshop 액션으로 스티치·실결 텍스처 적용, Overlay로 원색 복원
 
소개: 레트로 국립공원 패치, 벡터에서 실사 자수로 국립공원 배지에서 영감을 얻은 ‘Tatooine’ 테마의 패치를 벡터로 만들고, Photoshop에서 자수 액션을 색상별로 실행해 실제 패치처럼 보이게 합니다. 영상은 외부 색상 팔레트를 참조하지만 정확한 색상 값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또한 자수 액션의 세부 설정은 제품 설명서를 따르도록 안내합니다. 이 글은 화면의 진행 순서를 충실히 따라가며, 놓치기 쉬운 정렬/정리 포인트를 체크리스트로 돕습니다.
1단계: Illustrator 문서 설정과 베이스 헥사곤
- 새 문서를 만들고 단위를 픽셀로 설정합니다. 보다 넓은 작업 공간을 원한다면 View > Hide Artboards로 보드를 숨깁니다.
 
- Polygon Tool로 헥사곤을 그릴 때 Shift 키를 눌러 방향을 고정합니다.

- Selection/Direct Selection을 번갈아 쓰며 세로 비율을 약간 늘려 배지 같은 비율을 잡고, 코너 위젯을 드래그해 모서리를 둥글립니다. 결과물은 둥근 모서리의 세로형 헥사곤 컨테이너입니다.

간단 체크
- 컨테이너는 ‘둥근 모서리의 세로형 헥사곤’인가?
 
- 이후 모든 요소는 이 안에서 정리될 예정입니다.
 
2단계: Tatooine 풍경 실루엣 쌓기 하단 전경부터 중경 산세까지, 연필 도구로 자유롭게 그리고 Shape Builder로 깔끔히 자릅니다. - 연필(Pencil) 도구로 약간 출렁이는 지평선을 그립니다. 자연스러운 흔들림이 오히려 실루엣의 맛을 살립니다.

- 색상 팔레트에서 가장 어두운 브라운을 채우고, 헥사곤 밖으로 나간 부분은 헥사곤과 함께 선택해 Shape Builder에서 Alt(Option)를 누른 채 클릭해 삭제합니다.

- 더 멀리 있는 중경은 산세가 느껴지도록 한 번 더 그린 뒤 보라 계열로 채우고, 동일하게 트리밍합니다.
 
프로 팁
- 펜슬로 그린 경로는 꼭 닫아야 채우기가 정확히 적용됩니다.
 
- 과감히 그려놓고 Alt-Shape Builder로 정리하는 흐름이 가장 빠릅니다. 필요하면 Undo로 돌아가 영역을 다시 선택하세요.
 
- 실제 자수 제작까지 고려한다면, 이 단계에서 면이 과도하게 잘게 쪼개지지 않도록 단순화해 두면 이후 공정이 매끈해집니다. 실제 기계 자수로 넘어갈 계획이 있다면 호환 장비나 프레임 조사를 미리 해보세요. 예를 들어 자수 기계 for beginners를 검토하며 입문 기계 스펙을 파악하는 식입니다.
 
3단계: 두 개의 태양과 이중 스트로크 보더 - Rectangle Tool로 상단에 가로 스트라이프를 만들고 레트로한 하늘을 3단 스트라이프로 구성합니다. 스마트 가이드로 딱 맞춰 정렬하고, 헥사곤 밖은 Shape Builder로 자릅니다.

- Ellipse Tool로 첫 번째 태양을 그리고 밝은 노랑으로 채웁니다. 산과 겹치는 부분은 산 레이어를 복제해 앞으로 가져온 뒤 Pathfinder > Minus Front로 깔끔하게 잘라 ‘산 뒤로 지는 태양’ 느낌을 냅니다.

- 두 번째 태양은 더 작고 옅은 노랑으로 균형을 맞춥니다.
 
- 컨테이너 헥사곤을 선택하고 Appearance 패널에서 다중 스트로크를 추가합니다. 안쪽은 옅은 노랑 5pt, 바깥은 진한 브라운 20pt로 두텁게. 스트로크 순서는 바깥쪽(진한) 아래, 안쪽(옅은) 위가 되도록 드래그로 정렬합니다.

주의
- Appearance에서 스트로크 순서가 뒤집히면 안쪽 라인이 가려질 수 있습니다. 패널에서 스트로크 레이어 순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4단계: 타이포그래피 구성과 정렬 - Type Tool로 메인 타이틀 ‘TATOOINE’을 넣고 Titling Gothic 계열로 설정합니다. 채우기는 옅은 노랑으로 배색합니다.

- 정렬 정확도를 높이려면 텍스트를 Create Outlines로 외곽선화한 뒤, 헥사곤을 키 오브젝트로 지정하여 Align 패널에서 중앙 정렬합니다.

- 보조 라벨 ‘NATIONAL PARK’는 압축 스타일 폰트에 높은 트래킹을 주어 간격을 확보하고, 점 장식을 좌우에 더합니다.
 
- 스크립트 ‘Visit the’에는 수직 Shear 5° 정도를 주어 흐름을 살리고, 산세·하단 라벨은 Direct Selection으로 코너 위젯을 미세하게 둥글려(큰 텍스트 약 1.5px, 작은 텍스트 약 0.5px) 날카로움을 누그러뜨립니다.
 
간단 체크
- 모든 텍스트는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정확히 중앙 정렬되었나요?
 
- 산세/라벨의 모서리 라운딩이 과하지 않게 ‘살짝’ 적용되었나요?
 
5단계: Photoshop 준비 — 색상별 병합과 PSD 내보내기 자수 액션은 색상 레이어 단위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Illustrator에서 ‘색상별로 하나의 면’이 되도록 정리해야 합니다. - 전체 선택 후 Object > Expand Appearance로 절차적 효과(다중 스트로크 등)를 표준 경로로 확정합니다.

- Pathfinder > Divide로 겹친 면을 전부 분할하고, Ungroup합니다.
 
- 각 색상에 대해 Select > Same > Fill Color로 같은 색을 모두 모은 뒤 Pathfinder > Unite로 하나의 면으로 병합합니다.

- File > Export As … Photoshop(PSD)을 선택하고, 해상도 High(300 ppi), Write Layers 옵션을 반드시 체크합니다.

프로 팁
- 이 단계에서 색상별 레이어가 깨끗하게 정리되지 않으면 Photoshop에서 액션이 불필요하게 많은 조각을 생성하거나 오류를 냅니다.
 
- 디자인을 실사 모형으로만 쓸 계획이라면 여기서 멈춰도 좋습니다. 반대로 실제 기계 자수로 옮길 계획이라면 이후 공정에서 원단 및 프레임 제약을 고려해 면과 두께를 조정하세요. 이를테면 프레임 종류를 미리 조사하며 magnetic 프레임이나 snap hoop monster 같은 장비 키워드를 참고하면 탐색이 수월합니다.
 
6단계: Photoshop에서 현실적인 자수 효과 적용 - 내보낸 PSD를 열고, ‘Realistic Embroidery’ 액션을 색상 레이어별로 실행합니다. 레이어가 덮어쓰이지 않도록, 한 색을 처리하고 결과 레이어 이름을 즉시 변경한 뒤 다음 색으로 넘어갑니다.

- 액션 실행 순서는 ‘Stitched Outline’ → ‘Fill Detail’ → ‘Render’의 흐름을 따릅니다(영상 기준). 색상별로 반복합니다.
 
- 액션은 기본적으로 파란 실 색을 입히는데, 원본 색을 되살리려면 Illustrator 원본 색상 레이어 그룹의 가시성을 켠 뒤 그룹을 레이어 스택 최상단으로 올리고 블렌딩 모드를 Overlay로 바꿉니다. 그러면 실 텍스처는 유지하고 색감만 복원됩니다.
 
- 필요하다면 생성된 각 스마트 오브젝트를 열어 Cloth Displace, Drop Shadow, Border 같은 옵션을 모양/텍스트 크기에 따라 끌 수 있습니다(영상에서는 작은 텍스트의 보더를 제거하고, 드롭 섀도우를 껐습니다).
 
주의
- 색상 레이어 이름을 바꾸지 않으면 액션이 이전 결과를 덮어써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 액션의 상세 수치는 영상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으므로 제품 설명서를 따르세요.
 
문제 해결 - Photoshop에서 레이어가 하나로만 보일 때: Illustrator에서 색상별 면을 Unite로 합치고, Export As 시 Write Layers를 켰는지 확인하세요.
- 액션 실행 시 ‘Make/Apply/Invert not available’ 오류: 댓글 스레드에 따르면 대상 오브젝트가 지나치게 작을 때 실패 사례가 있었습니다. 작업 크기를 키워 재시도해 보세요.
 
- 색이 바래 보일 때: 원본 색상 그룹을 맨 위로 올려 Overlay로 복원하세요.
 
- Illustrator에서 이중 스트로크가 안 나올 때: Appearance 패널에서 스트로크 순서를 확인하고, 바깥(두꺼운) 스트로크가 아래, 안쪽(얇은) 스트로크가 위인지 체크하세요.
댓글에서 - “Photoshop에서 레이어가 하나뿐이에요. 어떻게 여러 레이어로 가져오나요?” — 색상별로 Divide/Unite 정리 후, PSD 내보내기에서 Write Layers를 체크합니다. 영상 10:37 지점이 참고가 됩니다.
- “Illustrator만으로 자수 효과를?” — 본 튜토리얼의 자수 질감은 Photoshop 액션으로 구현합니다(11:13 이후). Illustrator 단계는 벡터 준비가 핵심입니다.
- “링크가 동작하지 않아요.” — 제작자가 Envato Elements 구독 및 개별 구매 링크를 댓글로 안내했습니다. 링크 유효성은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액션 오류가 나요.” — 일부 사용자는 오브젝트 크기를 키우면 해결된다고 공유했습니다(커뮤니티 팁).
 
실제 제작으로 확장하기 이 튜토리얼은 ‘실사처럼 보이는’ 디지털 목업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만약 완성 이미지를 실제 기계 자수로 전환하려면, 제작업체 사양에 맞춘 파일 포맷(업체별 지정)과 스티치 수·실 색 수 제한, 최소 선 두께 등을 추가로 확인해야 합니다. 본 영상에서는 실제 생산 스펙을 다루지 않습니다. 다만 조사 시 다음과 같은 키워드가 탐색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랜드와 무관하게 검색 범위를 넓히고 싶다면 brother 자수 기계의 액세서리 호환이나 tajima 자수틀 같은 프레임 유형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프레임 선택을 둘러보며 mighty hoop station처럼 고정 보조 장치를 알아보거나, 자석 자수틀로 작업 효율을 비교해보는 것도 방향 잡기에 유용합니다. 특정 사이즈가 필요하다면 mighty hoops 라인업의 규격을 확인해보세요.
워크플로 하이라이트 요약 - 컨테이너(헥사곤)로 경계 설정 → 실루엣 풍경과 레트로 스트라이프 하늘 → 두 개의 태양과 이중 보더 → 타이포그래피 정렬/미세 라운딩 — 여기까지가 Illustrator 단계의 핵심입니다.
- Expand Appearance → Divide/Unite로 색상별 단일 면 정리 → PSD 내보내기(300ppi, Write Layers)
- Photoshop에서 색상별 액션 실행 → 결과 레이어 이름 변경 → 원본 색상 Overlay 복원 → 스마트 오브젝트로 디테일 조정
마무리 완성된 결과는 실과 직물이 그대로 느껴지는 패치 목업입니다. 한 번 템플릿을 만들고 나면 색상 팔레트, 레터링, 실루엣만 바꿔 다양한 배지 시리즈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모형으로 프레젠테이션을 강화하고, 실제 생산으로 연결할 때는 제작사 스펙과 권장 해상도, 최소 스티치 폭 등을 별도로 확인하세요. 참고로 검색 과정에서 magnetic 프레임이나 snap hoop monster처럼 프레임 구조를 파악해두면 원단 고정과 위치 재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필요 장비 조사를 병행한다면 자수 기계 for beginners 카테고리 정보도 유용합니다.
확장 읽기와 실험 아이디어
- 동일한 레이아웃으로 다른 행성/지형 테마를 만들어 시리즈화해 보세요.
 
- 스트로크 굵기, 모서리 라운딩 반경, 텍스트 트래킹을 바꿔 ‘시대감’을 달리 연출해 보세요.
 
- 실제 자수화를 가정하고 선 두께/간격을 보수적으로 설계해 ‘이식 가능한 벡터’를 만들어 두면 추후 커뮤니케이션이 쉬워집니다.
 
참고 이미지 포인트 - 시작과 끝: 컨테이너 설정부터 자수 질감 완성까지, 각 분기마다 핵심 UI와 결과를 스틸로 확인해 흐름을 재점검하세요.
–
보너스 노트: 장비 리서치를 시작한다면 디자인을 실물 자수로 옮길 계획이라면, 장비와 프레임을 빨리 이해해둘수록 의사결정이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mighty hoops와 같은 구조는 두꺼운 원단이나 다루기 어려운 위치에서 유리할 수 있고, 브랜드별 프레임 규격(예: brother 자수 기계 주변기기, 산업용 계열의 tajima 자수틀 호환성 등)을 사전에 파악해두면 견적 요청 시 커뮤니케이션이 간결해집니다. 반대로 간단한 취미 제작이라면 자수 기계 for beginners 범주에서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