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영상 보기: Holiauma Multi-Needle Embroidery Machine Threading Guide —
두려웠던 멀티니들 스레딩, 오늘 끝을 봅니다. 상부·하부 텐션 디스크부터 테이크업 레버, 자동 실끼우기까지—경로 하나하나를 놓치지 않도록 촘촘히 따라가 보세요. 신형 표준법과 스프링이 약해진 구형을 위한 대안 경로까지, 실 끊김 없이 매끄러운 자수를 위한 핵심만 담았습니다.
무엇을 배우게 되나요
- 상단 3개 가이드와 단일 홀, 가이드 튜브, 텐션 디스크를 정확히 통과시키는 법
- 테이크업 레버와 니들 주변 바(두 평행 바) 경로의 올바른 ‘우→중앙→좌’ 통과 순서
- 자동 실끼우기(오토 스레더) 준비와 작동 포인트
- 구형(스프링 약화) 머신을 위한 상·하부 텐션 대안 경로
- 중간 점검 체크리스트와 흔한 문제 대처법
Holiauma 자수기의 실 경로 이해하기 자수기의 스레딩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하나의 연속된 길입니다. 이 길을 정확히 밟아야만 텐션이 안정되고, 실이 튀거나 끊어지지 않죠. 본 영상에서는 굵은 실로 시인성을 높였으며, 상단 3개의 작은 가이드, 이어지는 단일 홀, 상부 텐션 디스크, 클리어 가이드 튜브, 하부 텐션 디스크와 핀(peg), 테이크업 레버, 니들 주변 바, 자동 실끼우기 순으로 내려옵니다. 실의 좌/우 위치 지시를 정확히 지키는 것이 관건입니다. holiauma
핵심 구성 요소 살펴보기
- 상단 가이드: 3개의 연속된 작은 구멍과 그 뒤의 단일 홀
- 상부 텐션 디스크: 신형 표준법은 ‘왼쪽에서 진입 → 디스크 사이 → 완전히 한 바퀴’
- 가이드 튜브: 클리어 튜브를 따라 실이 하부로 이동
- 하부 텐션 디스크: 핀(peg) 좌/우와 작은 오프닝, 최종 바 아래로 고정
- 테이크업 레버·니들 주변 바: 우측→중앙 홀→좌측으로 되올라왔다가 다시 좌측을 따라 하강
- 자동 실끼우기: 흰 링이 있는 작은 홀과 뒤쪽 바
정확한 텐션의 중요성 텐션 디스크 사이에 실이 ‘제대로’ 앉지 않으면, 땀이 느슨하거나 지나치게 당겨져 실 끊김의 원인이 됩니다. 표준 경로에서 요구하는 좌/우 방향 전환과 ‘완전 랩’ 동작을 놓치지 마세요. 중간마다 가볍게 잡아당겨 매끄럽게 움직이는지 확인하면, 문제를 초기에 잡을 수 있습니다.

신형 기준: 표준 스레딩 단계별 가이드 스풀부터 상부 텐션 디스크까지 1) 상단 3개의 작은 가이드를 순서대로 통과시킵니다. 이때 실이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이는지 확인하세요.

2) 3개 가이드를 지난 실을 바로 뒤의 단일 홀에 통과시킵니다. 이 홀은 텐션 시스템으로 진입하기 전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3) 상부 텐션 디스크(신형 표준법): 실을 왼쪽에서 접근시켜 디스크 두 장 사이로 넣은 뒤, 디스크를 한 바퀴 완전히 감아 오른쪽으로 나옵니다. 실이 디스크 사이에 확실히 ‘앉았는지’를 손끝으로 느껴보세요.

가이드 튜브와 하부 텐션으로 라우팅 4) 클리어 가이드 튜브 입구에 실을 넣습니다. 만약 진입이 어렵다면 함께 제공된 도구나 바늘을 사용해 유도할 수 있습니다.

5) 튜브 끝단이 막힌 느낌이라면, 영상처럼 끝캡을 잠시 들어 올려 개구부를 만든 뒤 실(또는 바늘에 연결한 실)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방식이 유용합니다. 통과한 뒤에는 캡을 원위치로 정확히 눌러 고정하세요.

6) 이어지는 첫 번째 수평 바 아래로 실을 넣습니다. 위에 얹히면 마찰과 경로 이탈이 생기므로 반드시 바 아래를 통과해야 합니다.

7) 하부 텐션 디스크(표준): 텐션 하우징의 작은 핀(peg) 왼쪽에서 진입해 핀 아래를 지나, 두 장의 메인 텐션 디스크 사이로 실을 넣습니다. 그다음 핀의 오른쪽으로 실을 가져와 작은 오프닝에 실을 넣어 정확히 자리 잡게 합니다.


8) 마무리로 하부 텐션 디스크를 한 바퀴 완전히 감아주고, 마지막 수평 바 아래로 실을 슬라이드하여 고정합니다. 이 랩과 고정이 느슨하면 작업 중 이탈할 수 있으니 팽팽함을 확인하세요.

중간 점검(비주얼 리뷰) 스풀에서 시작해 하부 텐션과 바 아래 고정까지, 지금까지의 모든 경로를 시각적으로 점검합니다. 실이 어느 지점에서도 꼬이거나 다른 경로로 넘어가 있지 않은지, 디스크 사이에 확실히 들어가 있는지, 빨리 확인할수록 수정이 쉽습니다. 자석 자수틀
테이크업 레버 영역, 그리고 니들 주변 바 9) 테이크업 레버의 지정된 좁은 슬롯에 실을 통과시킵니다. 흰색 하우징이 있는 구멍이 아니라 바로 옆의 작은 홀이라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10) 니들 부근의 두 평행 바 구간: 먼저 ‘오른쪽’에서 진입해 중앙의 작은 홀을 통해 아래로 내리고, 다시 ‘왼쪽’으로 되올라옵니다. 이때 핀셋을 쓰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자동 실끼우기 준비와 작동 11) 흰 링이 표시된 작은 홀에 실을 통과시킨 후, 인접한 바 뒤로 실을 밀어 넣어 고정합니다.

12) 자동 실끼우기 사용: 손가락으로 메커니즘을 열어 실을 지정 슬롯에 올린 다음 손을 떼면, 스레더가 실을 바늘귀로 당겨 넣습니다. 통과가 안 되면 실의 각도나 위치를 미세 조정해 다시 시도하세요.

13) 마지막으로 바늘 아래의 작은 립/핀 뒤로 실을 살짝 끼워 정리하고, 남는 실은 깔끔히 컷팅합니다.

프로 팁
- 튜브 끝캡 활용: 끝캡을 순간 분리하면 튜브 하강 구간이 쉬워집니다. 캡을 되끼울 때 실을 살짝 당겨 텐션을 유지하세요.
- 랩의 ‘완전성’: 상·하부 텐션 디스크 모두 ‘완전히 한 바퀴’가 핵심입니다. 반 바퀴는 텐션 불안정의 지름길입니다.
- 도구 활용: 협소한 홀은 바늘 또는 핀셋으로 보조하면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mighty hoop
주의
- 텐션 과다/과소는 모두 문제입니다. 디스크 사이에 실이 들어갔는지 손끝으로 느끼며, 지나치게 빡빡하거나 헐거운 감이 들면 즉시 재스레딩하세요.
- 영상에서는 굵은 실을 사용해 가시성을 높였으므로, 실제 자수실과 체감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 체크
- 각 지점(상단 3가이드→단일 홀→상부 텐션→튜브→하부 텐션→테이크업 레버→니들 주변 바→오토 스레더)의 순서를 정확히 지켰나요?
- 좌/우 방향 지시(특히 핀 기준 좌·우, 바 오른쪽 진입 등)를 준수했나요?
- 마지막 립/핀 뒤로 실을 정리하고, 불필요한 여분을 컷팅했나요? 자수 기계 for beginners
구형 Holiauma를 위한 특별 고려사항 스프링 강성이 약해진 구형 머신은 표준 경로에서 텐션이 과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부 텐션 디스크 진입 방향을 바꿔 ‘오른쪽으로 접근해 디스크 사이로 넣고, 한 바퀴 감은 뒤 왼쪽으로’ 나오게 하는 대안 경로를 시도하세요. 나머지 경로는 동일합니다. 하부 텐션 디스크도 핀의 오른쪽에서 오프닝으로 진입→왼쪽→한 바퀴 랩→오른쪽→바 아래 고정 순으로 대안 경로가 가능합니다. 둘 중 본인 머신에서 텐션이 더 안정적인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brother 자수 기계
대안 경로의 포인트
- 목적: 스프링이 약해 표준 랩에서 과긴장 또는 미끌림이 생기는 경우 텐션을 ‘달리 거는’ 방식으로 균형을 맞추려는 것
- 동일한 체크: 디스크 사이 착좌, 핀 좌/우 전환, 최종 바 아래 고정은 동일하게 중요
- 테스트: 가벼운 장력으로 당겨보며 매끄럽게 움직이는지 확인 후, 샘플 스티치로 최종 검증
자주 겪는 스레딩 문제 해결 실 걸림과 끊김 대처
- 증상: 실이 특정 구간에서 빠르게 마모되거나 갑자기 끊김
- 점검: 상단 3가이드와 단일 홀, 테이크업 레버 옆 작은 홀(흰 하우징 X), 니들 주변 바의 ‘우→중앙→좌’ 순서 누락 여부
- 조치: 해당 구간을 재스레딩하고, 디스크 랩을 완전하게 수행했는지 재확인하세요. 필요 시 핀셋으로 미세 교정합니다. barudan 자수 기계 자수틀
올바른 텐션 확보
- 디스크 사이 ‘착좌감’ 확인: 실을 좌우로 살짝 움직였을 때 도는 느낌이 아니라 ‘사이에 끼워진’ 저항감이 느껴져야 합니다.
- 랩 각도: 랩 후 실이 핀의 반대편으로 넘어가며 작은 오프닝을 통과했는지 시각적으로 점검하세요.
도구로 쉽게 하기
- 바늘: 튜브 구간에서 실을 바늘귀에 매달아 길게 만들어 중력으로 ‘떨어뜨리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 핀셋: 니들 주변 바의 작은 홀 통과 정확도를 높여줍니다.
최적 성능을 위한 유지관리 경로 청소 루틴 실먼지와 잔섬유가 가이드·디스크·바 주변에 쌓이면 마찰이 늘고 텐션이 흔들립니다. 사용 주기와 환경에 따라 브러시나 에어로 미세 먼지를 정리하고, 가이드 튜브 입구와 오토 스레더 주변의 이물질도 함께 점검하세요. 장비별 권장 주기는 공식 매뉴얼을 따르되, 본 영상에서는 구체 주기가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tajima 자수 기계 자수틀
프레임 관련 코멘트 영상 댓글에 따르면 기본 ‘큰 프레임’은 이미 장착되어 있으며, 추가 프레임은 비어 있는 포지션에 더하는 방식(기존 프레임 탈거 없음)으로 설치한다고 안내됩니다. 프레임 확장은 본 가이드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해당 주제의 별도 자료를 참고하세요.
댓글에서
- “다른 번호(바늘)에도 동일 경로를 쓰나요?” — 예, 번호가 달라도 스레딩 절차는 동일하다고 답변합니다.
- “큰 프레임 설치 방법은?” — 머신에 기본 프레임이 장착되어 있고, 추가는 빈 자리에 더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 “매뉴얼 찾기 어렵다” — 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 있습니다.
- “구매처” — 제작자가 댓글에서 출처를 언급했으나, 본문에서는 링크/개인 정보를 생략합니다. brother 자수 기계
프로젝트 시작 전 체크리스트
- 올바른 실 준비: 기계와 프로젝트에 맞는 실 종류/굵기를 사용하세요(영상은 시인성 향상을 위해 굵은 실을 사용).
- 조명과 시야: 스레딩 포인트가 작은 구간이 많아 충분한 조명이 중요합니다.
- 단계별 고정: 각 랩과 바 아래 고정이 확실해야 중간 이탈을 방지합니다.
마무리: 스레딩을 내 손에 이제 상단 가이드에서 자동 실끼우기까지 경로를 모두 익혔습니다. 신형 표준법으로 시작해보고, 구형이라면 대안 경로로 텐션을 조정해 보세요. 번호가 다른 바늘에도 동일 절차가 적용되므로, 한 번 손에 익히면 속도와 안정성이 함께 올라갑니다. 여러분의 작업 환경에 맞춰 꼼꼼한 점검 루틴을 만들고, 필요 시 부분 재스레딩을 주저하지 마세요.
참고로, 브랜드가 다른 액세서리(예: 마그네틱 프레임·후프)를 함께 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영상은 Holiauma 스레딩에 한정된 안내입니다. 추후 다른 장비를 탐색한다면, 각 기종 전용 규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brother 자수 기계 자석 자수틀
에디터 노트
- 영상은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되어 일부 구간 선명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 굵은 실을 사용해 바늘 귀 통과 시연은 생략되며, 해당 단계는 독자가 직접 마무리해야 합니다.
- 구체적인 토크/장력 수치, 유지관리 주기는 영상에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holiaum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