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리메이션 모자 패치 DIY: 보슬보슬 ‘래기’ 패치로 모자 커스터마이징

· EmbroideryHoop
서브리메이션 모자 패치 DIY: 보슬보슬 ‘래기’ 패치로 모자 커스터마이징
보슬보슬한 가장자리의 ‘래기’ 모자 패치를 집에서 직접 만들어 보세요. 100% 폴리에스터 리넨 위에 서브리메이션으로 디자인을 전사하고, 프레이 체크로 가장자리를 고정한 뒤 패브릭 퓨전 접착제로 모자에 부착합니다. Silhouette Studio 설계·프린팅 설정, 385°F 60초 열프레스 팁, 패치 사이즈 선택 기준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서브리메이션 모자 패치 소개
  2. 필수 도구와 재료 준비
  3. 패치 디자인과 프린팅
  4. 패브릭에 전사(열프레스)
  5. 아이코닉한 래기 가장자리 만들기
  6. 모자에 패치 부착하기
  7. 완성 리뷰와 사이즈 가이드

영상 보기: DIY Sublimation Hat Patches: Make Your Own Raggy Hat Patches — The Sarcastic Crafter

요즘 가장 핫한 커스텀 모자 디테일, 바로 ‘래기(raggy)’ 서브리메이션 패치입니다. 보슬보슬한 가장자리와 선명한 컬러가 만나, 평범한 트러커 캡이 단숨에 시그니처 아이템으로 바뀌죠. 이 글은 The Sarcastic Crafter 채널의 튜토리얼을 따라, 준비부터 전사, 프레이(헤짐) 고정, 모자 부착, 사이즈 팁까지 전 과정을 손에 잡히게 정리했습니다.

무엇을 배우나

  • 100% 폴리에스터 리넨에 서브리메이션 전사하는 방법
  • Silhouette Studio에서 디자인 불러오기·미러·사이즈 조정·프린팅 워크플로
  • 385°F(약 196°C) 60초 열프레스 레시피와 고스트 방지 팁
  • 프레이(헤짐) 연출 후 프레이 체크로 고정하는 요령
  • 패치 접착·정렬·압착 및 완성 후 사이즈 피드백

서브리메이션 모자 패치 소개 패치를 사는 대신, 직접 만들어 보는 즐거움. 이 영상은 폴리 리넨 원단 위에 여러 디자인을 한 번에 전사하고, 손으로 프레이를 내서 자연스럽게 헤진 듯한 가장자리를 살린 후, 접착제로 모자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4인치 패치는 존재감이 확실하고, 조금 더 담백한 인상을 원하면 3~3.5인치가 추천됩니다.

Overhead shot of various hat-making materials including hats, fabric, and glue bottles.
All materials laid out on a table, including trucker hats, polyester linen fabric, and bottles of fabric adhesive and fray check.
  • 간단 체크: 본 튜토리얼은 100% 폴리에스터 리넨을 사용합니다. 혼방일 경우 색이 탁해질 수 있습니다.

필수 도구와 재료 준비 어떤 모자를 쓰느냐는 취향의 문제이지만, 메쉬가 있는 트러커 스타일(영상에서는 Adams 브랜드)이 특히 잘 어울립니다. 핵심은 원단. 100% 폴리에스터 리넨이 선명도와 프레이 연출 모두에서 최적이었습니다.

Close-up of 100% polyester linen fabric with slightly frayed edges.
A close-up of the 100% polyester linen fabric, highlighting its texture and naturally frayed edge, essential for sublimation and the raggy patch style.

- 패브릭 접착제: Aileen’s Fabric Fusion Permanent Fabric Adhesive. 전체 면적에 도포해 가장자리 들뜸을 방지합니다.

A bottle of Aileen's Fabric Fusion Permanent Fabric Adhesive.
The Aileen's Fabric Fusion Permanent Fabric Adhesive is displayed, indicating its role as the glue for attaching the finished patches to the hats.

- 프레이 체크: Dritz Fray Check Liquid Sealer. 원하는 만큼 프레이를 낸 뒤,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둘레를 코팅합니다.

A bottle of Dritz Fray Check Liquid Sealer in its packaging.
The Dritz Fray Check Liquid Sealer is shown in its packaging, a liquid sealant used to stop fabric edges from fraying further.
  • 기타: 서브리메이션 전사용 용지, 열테이프, 정육점 종이(상·하단 보호), 가위, 핀이나 위딩툴(프레이용), 린트 롤러.

프로 팁

  • 작업대는 반드시 보호지를 깔고 시작하세요. 프레이 체크와 접착제는 스며들 수 있습니다.
  • 프린트부터 프레스까지 한 호흡으로 이어가면 색 선명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패치 디자인과 프린팅 이 튜토리얼에서는 Silhouette Studio를 사용했습니다. 파일을 불러온 뒤(Merge), 패치에 맞게 크기를 조정합니다. 패치의 존재감을 살리는 4인치가 영상의 기준이지만, 착용 컷 피드백을 참고하면 3~3.5인치도 충분히 멋집니다.

Screenshot of Silhouette Studio with multiple designs ready for printing.
The Silhouette Studio software displays several sublimation designs (pumpkins, 'Mama', 'Small Business Owner', 'Kind Bee') arranged and mirrored, ready for print preparation.
  • 꼭 기억: 서브리메이션은 프린트 전 반드시 미러링!
  • 페이지 설정: Machine None / Cutting Mat None / Media Size Custom. 종이는 11×17인치를 사용했습니다.

- 프린트: 서브리메이션 프린터(Epson ET-15000). 프리셋(11×17 Adobe)을 사용했고, 세부 컬러 세팅은 별도 영상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Epson ET-15000 printer feeding a sheet of sublimation paper.
An Epson ET-15000 printer in action, feeding a sheet of sublimation paper with the mirrored designs through its tray, ready for transfer.

주의

  • 미러링을 빼먹으면 전사 후 텍스트가 반대로 나옵니다.
  • 소프트웨어의 용지 사이즈와 실제 용지가 다르면 출력 오류나 잘림이 생깁니다.

간단 체크

  • 시청자 Q: “어떤 용지를 쓰나요?” 제작자 답: “Asub 120.”
  • 시청자 Q: “어떤 프린터를 쓰나요?” 영상에서는 Epson ET-15000을 사용했습니다.

참고로, 서브리메이션과 자수·패치 공정을 혼합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자수 프레임 생태계를 알아두면 작업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자석 자수틀 for embroidery 시스템은 두꺼운 소재를 고정할 때 유리해, 패치 위에 러닝 스티치를 더하는 데 쓸 수 있습니다.

패브릭에 전사(열프레스) 프레스는 385°F(60초). 100% 폴리에스터에서는 400°F까지 올리지 않아도 충분히 선명했습니다. 만약 색이 덜 받는다면 상향 조정 가능하지만, 영상 결과만 보면 385°F로도 매우 선명했습니다.

Heat press display showing temperature and time settings.
A close-up of the heat press's digital display, showing the set temperature of 385°F and preparing for a 60-second press.

- 준비: 프레스 플래튼 위에 정육점 종이→ 원단→ 린트 롤러로 먼지 제거→ 인쇄된 종이를 그림이 아래로 오도록 밀착→ 열테이프로 모서리 고정→ 상단에 정육점 종이.

Hands placing sublimation paper face down on fabric for pressing.
Hands carefully position the sublimation paper, face down with the mirrored designs, onto the lint-rolled polyester linen fabric, which sits on butcher paper on the heat press.

- 프레스: 60초. 끝나면 지연 없이 종이를 들어 고스트를 방지합니다.

Sublimated fabric with vibrant designs after heat pressing.
The sublimated fabric is revealed, showcasing the vibrant and clear transfer of multiple designs, confirming successful heat pressing at 385°F.

프로 팁 - 린트 롤러는 두 번. 프레스 직전에도 한 번 더 굴려 미세 보풀을 제거하면 하얀 점을 예방합니다.

Hands lint rolling a piece of white fabric on a heat press.
Hands are seen lint rolling a piece of polyester linen fabric placed on the heat press platen, ensuring all loose fibers are removed before sublimation to prevent imperfections.
  • 한 장에 여러 디자인을 전사할 때는 모서리 고정이 특히 중요합니다.

주의

  • 온도·시간 과하면 번짐·변색 위험, 부족하면 탁해집니다. 영상 레시피(385°F/60초)가 기준입니다.

아이코닉한 래기 가장자리 만들기 전사가 끝난 원단을 디자인 둘레로 잘라 개별 패치로 나눕니다. 이때 프레이 공간을 두기 위해 여유를 남기는 게 포인트입니다.

Hands cutting sublimation designs from a printed sheet.
Hands using scissors to cut around the printed sublimation designs on the paper, preparing them for placement on the fabric.
Hands trimming a sublimated design into a patch shape.
Hands use scissors to trim one of the sublimated designs into an irregular patch shape, leaving extra fabric around the design for fraying.

- 프레이: 위딩툴·시침핀·바늘로 가장자리 실을 살살 끌어내어 자연스러운 보슬보슬한 결을 만듭니다.

Hands using a weeding tool to fray the edges of a fabric patch.
A weeding tool is used by hands to gently pull threads from the edges of a cut fabric patch, creating the desired rustic, frayed effect.

- 프레이 체크: 원하는 정도로 해짐을 낸 뒤, 프레이 체크를 얹어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테두리를 코팅합니다. 병마개가 밀봉되어 있다면 핀으로 천천히 뚫어 사용합니다.

Hands applying Fray Check liquid to the frayed edges of a patch.
Hands apply the Fray Check liquid directly to the frayed edges of a patch placed on a piece of paper, ensuring the liquid permeates the fibers to prevent further unraveling.

프로 팁

  • 프레이는 ‘과하면’ 디자인을 침범합니다. 스크랩 조각으로 연습해 감을 잡아보세요.

주의

  • 프레이 체크는 15~30분 건조 권장(영상에서는 20분 전후로 건조). 젖은 상태에서 만지면 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모자에 패치 부착하기 건조가 끝난 패치를 뒤집어, Fabric Fusion 접착제를 전체 면적에 골고루 도포합니다. 특히 가장자리에 충분히 바르면 들뜸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Hands pressing a glued pumpkin patch onto a brown trucker hat.
Hands firmly press a 'It's Fall Y'all' pumpkin patch, with glue on its back, onto the front of a brown trucker hat, carefully aligning it and smoothing out the edges for secure adhesion.
  • 부착: 모자의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위치를 잡고 꾹꾹 눌러 압착합니다. 가장자리를 왕복으로 문질러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키세요.
  • 피드백: 첫 시도에서 들뜸이 보이면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더 추가해 보완합니다.

간단 체크

  • Q: “글루 내구성은 어떤가요?” 제작자 답: 실사용(야외 작업, 자주 착용)에서도 문제 없이 유지됐다고 합니다.
  • Q: “세탁기에 돌려도 될까요?” 영상 내 장기 세탁 테스트는 없었지만, 제작자 경험상 일상 사용에는 이슈가 없었다고 공유했습니다.

프로 팁

  • 패치 면 전체와 에지까지 끊김 없이 접착제를 퍼뜨려야 표면에 ‘젖은 얼룩’이 덜 비칩니다. 보이는 얼룩은 건조되며 대부분 투명해집니다.

완성 리뷰와 사이즈 가이드 완성 상태를 점검하세요. 접착제의 젖은 부분은 마르면 투명해지며, 전체적인 발색은 매우 선명합니다. 4인치 패치는 존재감이 크며, 영상에서는 3~3.5인치로 약간 줄이는 것도 좋겠다는 소감을 남겼습니다.

Three completed sublimation hat patches displayed on hats.
Three completed sublimation hat patches are showcased on different colored trucker hats, with designs including 'Mama', 'Small Business Owner', and 'It's Fall Y'all'.

착용 컷에서는 4인치가 확실히 볼드해 보입니다. 강조하고 싶은 날엔 4인치, 데일리에는 3~3.5인치가 무난합니다.

Woman wearing a custom sublimation hat patch on her head.
A woman wears a finished 'Small Business Owner' sublimation hat patch on a blue trucker hat, demonstrating how the 4-inch patch looks on the head.

댓글에서

  • 용지: “Asub 120” 사용.
  • 소프트웨어: Silhouette Studio 권장, 포토샵 등도 가능.
  • 접착제 내구성: 지속 착용에도 문제 없었다는 제작자 답변.
  • 세탁: 장기 세탁 실험 데이터는 없지만, 일상 사용에선 잘 유지된 사례 공유.

트러블슈팅

  • 전사 후 그림자(고스트)가 생겼다: 열테이프로 모서리를 확실히 고정했는지 점검. 프레스 직후 종이를 미는 동작도 흔들림 없이.
  • 하얀 점이 보인다: 린트 롤링을 강화. 프레스 직전에도 반드시 한 번 더.
  • 패치가 들뜬다: 접착제를 에지까지 충분히. 압착 시간을 늘리고, 필요 시 재도포.

작업 루틴 체크리스트 1) 디자인 미러링 확인 → 2) 11×17 셋업·프린트 → 3) 원단 프리프레스·린트 롤 → 4) 종이 고정·385°F 60초 프레스 → 5) 컷팅·프레이 → 6) 프레이 체크 건조(15~30분) → 7) 접착제 도포·모자에 부착 → 8) 건조·최종 점검

참고 확장 아이디어

  • 전사 패치 위에 얇은 러닝 스티치로 테두리를 한 번 더 감싸면 공방 느낌이 살아납니다. 이런 때 자석 자수틀을 써서 모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 도움이 됩니다.
  • 테두리 박음질을 고려한다면, 호환 프레임 생태계를 미리 조사해보세요. 예를 들어 brother 자석 프레임 라인업은 곡면 재킷·모자 전처리 시 고정 편의성을 높여줍니다.

보완 노트(영상 기준)

  • 폴리 리넨의 정확한 상표/제품명은 명시되지 않았습니다(매장: Hobby Lobby).
  • 프린터 컬러 세팅은 별도 영상에 언급됐고, 본 영상에서는 프리셋만 확인됩니다.
  • 접착제의 장기 내구성(반복세탁·일광 노출 등)은 상세 검증 전입니다.

워크스테이션을 키우는 팁 서브리메이션과 자수를 결합해 브랜드 무드를 다층적으로 연출하고 싶다면, 도구 생태계를 살펴보세요. 예를 들어 mighty hoopmighty hoops 같은 강력 고정형 프레임은 두꺼운 챙·측면 패널 위 작업 안정성에 유리합니다. 또, 퀵 체인지가 필요한 현장에서는 snap hoop monster 같은 자력식 프레임 시스템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자수까지 확장할 계획이 없다면 이 단락은 넘어가도 좋지만, 패치의 완성도를 한 단계 올릴 수 있는 옵션임은 분명합니다.

장비 노트(크로스오버 아이디어) 서브리메이션 중심의 공방이라도, 언젠가 라인업을 넓히고 싶을 수 있습니다. 이때 brother 자수틀 생태계처럼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을 스터디해두면, 전사 패치 위에 얇은 보더 스티치나 이니셜 모노그램을 더할 수 있습니다. 단, 본 튜토리얼의 핵심 범위는 ‘전사+프레이+접착’이므로, 자수 확장은 선택 사항입니다.

마무리 핵심은 간단합니다. 100% 폴리에스터 리넨, 385°F 60초, 린트 롤링, 테이핑으로 고정, 그리고 프레이 체크로 마감. 마지막으로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충분히 도포해 들뜸 없이 모자에 밀착시키면, 선명하고 러스틱한 래기 패치가 완성됩니다. 계절 디자인이나 슬로건을 얹어, 당신만의 트러커 캡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