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rilliance Stitch Artist로 패치 디지털화: 아플리케와 새틴 보더 완전 가이드

· EmbroideryHoop
Embrilliance Stitch Artist로 패치 디지털화: 아플리케와 새틴 보더 완전 가이드
Embrilliance Stitch Artist Level 1만으로도 깔끔한 패치 아플리케와 새틴 보더를 디지털화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후프·파일 타입 설정부터 이미지 크기 고정, 포지션/택다운 스티치, 새틴 보더의 풀 보정과 언더레이까지—영상에서 보여준 순서 그대로 따라 하며 안정적인 결과를 얻는 요령을 정리했습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Embrilliance 시작하기
  2. 디자인 가져오기와 사이즈 고정
  3. 아플리케 베이스 디지털화
  4. 새틴 보더 만들기
  5. 마무리: 정렬과 색상 지정
  6. 다음 단계: 연습 루틴과 변수 테스트
  7. 간단 체크
  8. 트러블슈팅
  9. 댓글에서

영상 보기: “How to Digitize a Patch using Embrilliance Stitch Artist (Applique & Satin Border)” — Stitchback Stories

패치의 테두리가 삐뚤빼뚤해진 적이 있나요? 화면에서는 꽉 찬 새틴 보더였는데, 실제로는 얇아져 아쉬웠다면 이 가이드를 붙잡으세요. 이 글은 영상의 흐름 그대로, Embrilliance Stitch Artist Level 1만으로도 깔끔한 아플리케와 새틴 보더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안내합니다.

무엇을 배우게 되나요

  • 올바른 후프·파일 타입·타이 스티치 기본 설정
  • 100% 스케일 원칙에 맞춘 이미지 가져오기와 잠금
  • 아플리케 포지션/택다운 스티치 구성과 시뮬레이션 검증
  • 새틴 보더의 폭, 풀 보정, 언더레이(에지런/패럴렐/지그재그) 설정
  • 보더 정렬과 실 색상 지정 요령

Embrilliance 시작하기 소프트웨어를 열자마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환경설정입니다. 영상에서는 Brother 계열 기계를 쓰므로 파일 타입으로 PES를 선택하고, 후프 크기는 프로젝트에 맞게 지정했습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4x4(100mm x 100mm) 후프를 사용했지만, 패치를 여러 개 배치할 때는 5x7 후프도 유용합니다. 가장 중요한 체크박스는 ‘Ensure ties surrounding jumps’—점프 주변 타이 스티치를 활성화해 실 풀림과 느슨한 시작/끝을 방지합니다.

Woman holding up a completed custom patch with a Monstera leaf design.
Michelle introduces the video by showing a finished custom patch, which features an appliqué Monstera leaf and a satin border, created using the Embrilliance Stitch Artist software.
  • 파일 타입: PES (Brother 사용 시)
  • 후프 크기: 100mm x 100mm (프로젝트에 맞게 조정)
  • 점프 주변 타이 스티치: 활성화

프로 팁 - 실제 사용 후프와 동일한 규격으로 설정하세요. 화면의 후프보다 큰 디자인을 만들면 기계에서 잘립니다.

Screenshot of the Embrilliance Stitch Artist software interface.
The Embrilliance Stitch Artist interface is displayed, showing a blank hoop area. The speaker notes she will use tools available in Level 1 of the software.

- 후프 변경 후 ‘Apply’를 누르는 걸 잊지 마세요.

Embrilliance preferences window open to Hoops settings.
The preferences window is open, showing the 'Hoops' settings where the file type (PES for Brother) and hoop dimensions are selected. This ensures compatibility with the embroidery machine.

주의 - 파일 타입을 잘못 선택하면 기계에서 파일을 읽지 못합니다. 제조사 매뉴얼로 지원 포맷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Embrilliance preferences window open to Jumps & Overlaps settings.
The 'Jumps & Overlaps' settings are shown, with 'Ensure ties surrounding jumps' checked. This prevents loose threads and improves stitch quality.

디자인 가져오기와 사이즈 고정 가져오기(Import)는 ‘Create’ 패널에서 Image를 선택합니다. 영상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로 만든 이미지를 불러왔지만, 핵심은 ‘완벽하게 크롭된, 최종 크기용 아트’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디지털화는 최종 크기(100% 스케일)에서 진행해야 실제 자수 치수와 화면이 일치합니다.

File selection dialog for importing an image into Embrilliance.
The file import dialog shows the 'Monstera-patch.png' file being selected for import. It's important to have the image cropped to exact dimensions beforehand.

1) 이미지 선택 후 ‘Selection’ 탭에서 단위를 인치로 전환합니다. 원하는 패치 완성 크기를 입력(예: 2.5in × 2.5in)해 스케일을 고정합니다. 2) 다시 단위를 mm로 돌려 미세한 격자를 활용합니다. 3) 이미지 레이어는 잠가서 작업 중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Imported image on Embrilliance canvas with selection handles.
The Monstera patch image is now on the canvas, selected with handles. The image is adjusted to 2.5 inches to match the desired final patch size at 100% scale.

프로 팁 - 이미지는 가져오기 전에 외부 프로그램에서 테두리 여백 없이 정확히 크롭해 두세요. 내부에서 억지로 맞추다 보면 축척 오해가 생깁니다.

Locked image layer in Embrilliance design panel.
The image layer is locked in the design panel, indicated by a padlock icon. This prevents accidental movement or changes to the background image while digitizing.

간단 체크

  • 이미지가 최종 크기와 정확히 일치하나요?
  • 레이어가 잠금 상태인가요?

- 격자는 mm로 보고 있나요?

Zoomed-in view of the design on the Embrilliance grid.
A zoomed-in view (e.g., 3:1 scale) of the design shows the millimeter grid. This precision allows for accurate tracing, understanding that small deviations are acceptable.

아플리케 베이스 디지털화 패치의 핵심은 ‘아플리케 베이스 → 새틴 보더’의 순서입니다. 먼저 100% 확대에서 원형 도구로 테두리 경계에 맞춘 완벽한 원을 그립니다(Shift 누른 채 드래그). ‘Center Design’으로 정확히 중앙 정렬한 뒤, 6:1 확대에서 포지션 스티치가 테두리 두께의 대략 2/3 지점에 오도록 조정합니다.

Drawing a perfect circle on the Embrilliance canvas.
Michelle draws a perfect circle around the patch design, holding the Shift key to maintain its circular shape. This circle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the appliqué stitch.

이제 스티치 타입을 ‘Appliqué’로 적용합니다. 초기에는 E-stitch가 걸릴 수 있으니, Border를 ‘None’으로 바꿔 일반 런 스티치 포지션 라인만 남깁니다. 이어서 Material(택다운)을 활성화한 뒤 Inset을 0.4mm로 설정해 천 가장자리보다 살짝 안쪽으로 박히게 합니다. 이렇게 해야 커팅 후 가장자리가 실 밑으로 안정적으로 들어갑니다.

Applying the appliqué stitch type in Embrilliance.
The 'Appliqué' stitch type is selected from the stitch panel, automatically applying an E-stitch pattern initially. This is the first step in creating the patch's outer fabric layer.

프로 팁 - 택다운이 가장자리에 너무 바짝 붙으면 올이 풀리기 쉽습니다. Inset 값으로 ‘안쪽 여유’를 확보하세요.

Setting appliqué material inset to 0.4mm.
The 'Material' option is enabled, and the 'Inset' value is set to 0.4mm for the appliqué. This ensures the tack-down stitch falls slightly inside the fabric, preventing fraying.

스티치 시뮬레이터로 순서를 예행연습합니다. 화면에서 포지션 → 천 배치 → 택다운 순으로 진행되는지 재생하며 확인하세요. 시뮬레이션에서 어긋남이 보이면 지금 단계에서 고치는 게 실물보다 훨씬 쉽습니다.

Stitch Simulator playing the appliqué stitch sequence.
The Stitch Simulator previews the appliqué process, showing the position stitch first, followed by the tack-down stitch. This visual confirmation helps verify the sequence and placement.

주의

  • 원 그리기 때 Shift를 놓치면 타원으로 변형됩니다. 필요하다면 과감히 다시 그리세요.

프로 팁

  • 후프 선택에 따라 작업 감도가 달라집니다. 4인치 작업을 자주 한다면 brother 4x4 자수틀 환경에서 검증해 두면 실제 봉제 시 위치 오차가 줄어듭니다.

새틴 보더 만들기 아플리케 원형을 선택해 복사/붙여넣기(Copy/Paste)로 겹치게 만든 뒤, 상단 레이어의 스티치 타입을 ‘Satin Border’로 바꿉니다. 영상에서는 폭(Width)을 약 3.0mm로 맞춰 보기 좋고 안정적인 가장자리를 구현했습니다.

Changing stitch type to Satin Border in Embrilliance.
After copying the appliqué circle, its stitch type is changed to 'Satin Border'. This creates the thick, finished edge characteristic of a patch.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풀 보정(pull compensation)’입니다. 3D 표시를 잠시 꺼 보면 실제 바늘 경로가 보이는데, 지그재그가 중앙 쪽으로 잡아당기며 최종 폭이 화면보다 얇아집니다. 따라서 원하는 폭보다 ‘조금 더 두껍게’ 설정해야 최종 결과가 의도에 맞습니다.

Underlay properties for satin stitch in Embrilliance.
The underlay properties for the satin border are configured, with 'Edge Run', 'Parallel', and 'Zig-Zag' selected. These layers provide stability and ensure complete coverage for the satin stitch.

언더레이 설정은 보더 품질을 좌우합니다. 에지런(Edge Run)으로 외곽을 잡고, 패럴렐(Parallel)과 지그재그(Zig-Zag) 레이어를 더해 바탕을 메워주면, 천색 비침을 줄이고 보더가 단단히 서게 됩니다. 영상에서는 세 가지를 모두 켜 안정성을 극대화했습니다.

프로 팁

  • 새틴 보더를 화면에서 딱 예쁜 폭으로 보이게 했다면, 실제는 더 얇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소프트 샘플을 봉제해 폭을 보정하세요.

주의

  • 언더레이를 과도하게 켜면 밀도가 높아 ‘딱딱한’ 구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더는 예외적으로 밀도를 주되, 내부 면적에는 과밀도를 피하세요.

마무리: 정렬과 색상 지정 보더 원형을 선택하고 Shift를 누른 채 안쪽으로 살짝 스케일링하면 중심 기준으로 균형 있게 줄어듭니다. 영상에서는 일러스트의 시각적 테두리 끝과 에지런 레이어가 시각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치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포지션/택다운 위로 새틴 보더가 깨끗하게 덮입니다.

Resizing the satin border while holding Shift for central scaling.
The satin border is resized inwards by holding the Shift key, ensuring it scales from the center. This precisely aligns the satin border with the visual edge of the underlying design.

이제 컬러를 지정합니다. ‘Color’ 패널에서 쓰는 실 브랜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색을 고릅니다. 영상에서는 Madeira PolyNeon의 번트 오렌지를 선택했는데, 화면 컬러와 실제 스풀 색이 다를 수 있으니 실제 스풀을 기준으로 조합하세요.

Thread color selection dialog in Embrilliance.
The thread selection dialog is open, allowing Michelle to choose the 'Madeira PolyNeon' brand and a 'Burnt Orange' color for the satin border. It's noted that on-screen colors might not be perfectly accurate to physical thread.

프로 팁

  • 대체 후프/프레임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력 고정이 필요한 원단이라면 brother magnetic 프레임이나 snap hoop monster 같은 옵션을 검토해 보세요. 디지털화 자체는 동일하지만, 고정 방식이 바뀌면 스티치 라인의 안정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단 체크

  • 포지션/택다운/새틴 보더가 서로 겹치며 논리적인 순서로 배치되었나요?
  • 새틴 보더 폭은 최종 결과를 감안해 약간 여유를 두었나요(풀 보정)?
  • 언더레이(에지런/패럴렐/지그재그)가 보더에만 적용되어 있나요?
  • 스티치 시뮬레이터로 실제 순서를 최종 점검했나요?

트러블슈팅

  • 복사/붙여넣기가 같은 위치에 붙지 않아요: 영상에서는 동일 위치에 붙는 동작이 보이지만, 뷰 설정/레이어 선택 상태에 따라 오프셋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붙여넣기 직후 선택된 객체의 좌표를 확인하고, 필요 시 정렬 도구로 원본과 중심 정렬해 주세요. (댓글에서 동일한 질문이 있었으나 특정 설정 값 언급은 없었습니다.)
  • 보더가 화면보다 얇게 나와요: 풀 보정 때문입니다. 보더 폭을 화면에서 한 단계 두껍게 늘려 재시도하고, 언더레이를 켜서 기반을 단단히 잡아주세요.
  • 천이 비칩니다: 언더레이에서 에지런과 패럴렐, 지그재그를 모두 활성화해 커버리지를 높이세요.
  • 색이 화면과 다릅니다: Embrilliance의 디스플레이 컬러는 참고용입니다. 실제 스풀로 최종 매칭하세요.

댓글에서

  • “Procreate에서 만든 이미지를 가져와 디지털화할 수 있나요?” → JPG로 가져와 수동 디지털화하면 됩니다. 자동으로 깔끔하게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는 없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 “가격/구매처?” → 제작자는 Embrilliance 직구 혹은 아마존을 추천하며 약 $200에 구매했다고 밝혔습니다.
  • “벡터 가져오기 가능?” → Stitch Artist Level 1은 PNG/JPG 가져오기만 가능합니다.
  • “사용 기계?” → Brother PE800, NQ1600E를 사용한다고 답변했습니다.

주의

  • 본 튜토리얼은 시리즈 1편으로, 이후 영상에서 채움 스티치(예: 잎사귀, 스파클)를 추가합니다. 현재 글에서는 아플리케 베이스와 새틴 보더까지만 다룹니다.

다음 단계: 연습 루틴과 변수 테스트

  • 확대율 습관들이기: 1(100%), 2(200%), 3(300%) 단축키에 익숙해지세요. 6:1 뷰에서 1mm 오차는 실제 봉제에서 큰 문제가 아닙니다.
  • 샘플 봉제: 새틴 폭을 3.0mm로 시작하되, 더 두껍게/얇게 두어 개 샘플을 만든 뒤 가장 깔끔한 커버리지를 선택하세요.
  • 언더레이 조합: 에지런만, 에지런+패럴렐, 에지런+패럴렐+지그재그로 각각 테스트해 천 비침/단단함/유연성의 균형을 찾으세요.

프로 팁

  • 5×7 후프에서 복수 패치를 한 번에 배치하면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이때 후프 규격과 스티치 순서를 엄격히 검증하세요. 해당 구성은 brother 5x7 자석 자수틀 같은 자석형 시스템으로 고정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브랜드·하드웨어 참고 노트

  • 영상에서는 Brother 계열 기계와 PES 포맷을 사용했습니다. 4×4, 5×7 같은 표준 후프 규격은 학습·검증에 유리합니다. 4인치 프로젝트가 주력이라면 brother pe800 자수틀 size를 기준으로 연습 세트를 만들어 두는 것도 좋습니다.
  • 고정 도구는 작업 흐름에 큰 영향을 줍니다. 자석 프레임류(dime 자석 자수틀)나 대중적인 호핑 시스템(mighty hoop)은 두꺼운 원단이나 접기 어려운 소품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 영상은 표준 후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작업 루틴 예시 1) 환경설정: 파일 타입(PES), 후프(100×100mm), 점프 타이 활성화 2) 아트 보드 준비: 이미지 100% 스케일, 레이어 잠금 3) 아플리케: 포지션(2/3 지점), 택다운(Inset 0.4mm) 4) 시뮬레이션 검증: 순서/간격 확인 5) 새틴 보더: 폭 설정(풀 보정 고려), 언더레이 3종 활성화 6) 정렬/색상: 중심 기준 미세 스케일, 실 컬러 실제 스풀로 선택

자주 묻는 질문

  • 풀 보정이란? 봉제 중 스티치가 중앙으로 끌리는 현상을 상쇄하기 위해 화면상 폭을 더 두껍게 주는 설정/개념입니다.
  • 가져올 이미지는 왜 정밀 크롭해야 하나요? 100% 스케일 디지털화가 전제이기 때문입니다. 여백이 섞이면 실제 크기 인식이 흐려집니다.
  • 포지션 스티치와 택다운의 역할은? 포지션은 천을 둘 위치를 표시하고, 택다운은 천을 고정합니다.

프로 팁

  • Brother 생태계에서 다양한 고정 옵션을 고려한다면 brother nq1600e 환경에서 표준 후프 대비 자석형 고정을 비교 테스트해 보세요. 프로젝트 종류에 따라 최적 조합이 달라집니다.

마지막 체크리스트

  • 후프/파일 타입/타이 스티치 설정은 저장되었나요?
  • 이미지가 100% 스케일, 잠금 상태인가요?
  • 포지션과 택다운의 간격, 보더 폭과 언더레이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나요?
  • 실 컬러는 실제 스풀과 매칭했나요?

참고 링크·아이디어

  • 시리즈 2편에서 채움 스티치를 다룹니다. 잎과 스파클을 추가하며 보더와의 이음새도 점검할 예정입니다.

추가 메모

  • 자동 디지털화에 의존하지 마세요. 영상 제작자도 ‘수동 디지털화’를 강조합니다. 그만큼 결과 품질이 달라집니다.

작업 노트 한 줄

  • 화면에서 예쁜 것보다 기계에서 예쁜 게 정답입니다. 샘플을 통해 ‘내 기계/실/원단’의 조합을 기록해 두세요.

부록: 장비·액세서리 키워드 메모

  • 표준 후프 외에, 작업 특성상 자석형/스냅형 프레임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 자석 자수틀 for brother 계열. 프로젝트에 맞춰 고정 방식을 고르되, 디지털화 원칙(100% 스케일, 풀 보정, 언더레이)은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