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ther PR670E 전문가용 자수기, 처음부터 끝까지 셋업 가이드

· EmbroideryHoop
Brother PR670E 전문가용 자수기, 처음부터 끝까지 셋업 가이드
Brother PR670E를 처음 맞이하셨나요? 이 가이드는 영상과 함께 언박싱부터 스탠드 고정, 실걸기, 보빈 장착, 후프 결합, 전원 온·초기 캘리브레이션까지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영상에서 강조한 ‘후프의 정상적인 유격(wobble)’ 팁과 바늘/보빈 방향 같은 핵심 체크 포인트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시작하기: PR670E 언박싱
  2. 첫 사용을 위한 조립
  3. 전원 온과 초기 설정
  4. 실걸기와 보빈 장착
  5. 자수 준비: 프레임/후프와 바늘
  6. 마무리: 다음 단계

영상 보기: How to Set Up Your Brother PR670E Professional Embroidery Machine — Frank Nutt Sewing Machines

PR670E를 처음 열어보는 순간, 상자의 크기와 구성물에 압도되기 쉽죠. 하지만 올바른 순서로 차근차근 진행하면 첫 전원 온과 후프 결합까지 손쉽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영상과 동일한 흐름으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초기 세팅을 끝낼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무엇을 배우게 될까요?

  • 대형 박스 언박싱과 안전한 이동, 스탠드 고정 요령
  • 스레드 스탠드 및 화면 암 정렬·고정, 볼트 사용 팁
  • 전원 온, 화면 초기 설정, 자동 암 캘리브레이션 확인
  • 자동 실끼우기 활용한 1번 바늘 실걸기와 보빈 장착의 올바른 방향
  • 프레임 홀더 A와 후프의 정확한 장착, ‘정상 유격(wobble)’ 이해

시작하기: PR670E 언박싱 공간 확보부터 하세요. PR670E 박스는 키가 크고 무게감도 있어, 충분한 바닥 공간과 이동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Woman standing next to a large Brother PR670E box in a cluttered workshop.
The Brother PR670E machine arrives in a tall, large box, requiring ample space for unboxing.

먼저 외부 포장을 고정한 스트랩을 제거합니다. 영상에서는 가위를 사용해 스트랩을 안전하게 절단하고, 상자 덮개를 열 준비를 합니다. 스트랩이 모두 제거됐는지 한 번 더 확인하세요.

Close-up of hands cutting shipping straps on the Brother machine box.
The first step involves carefully cutting the large plastic straps that secure the outer packaging.

참고로, 자수 장비를 처음 들이시는 분이라면 매장 혹은 작업실 배치를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좋아요. 이런 도구에 관심이 많다면 brother 자수 기계 검색으로 주변 사례를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상단 플랩을 열면 폴리스티렌 액세서리 트레이가 보입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기본 액세서리가 들어 있으니 조심스레 들어 올려 따로 보관하세요. 영상에서는 “상자 안의 상자” 같은 보호층이 이어지므로, 부자재가 숨지 않았는지 한 번 더 확인합니다.

Woman lifting a polystyrene accessory tray from the top of the open box.
Inside the box, a polystyrene tray holds various accessories, which needs to be carefully lifted out.

이제 바닥 주변을 고정한 흰색 플라스틱 클립 6개를 해제해야 합니다. 클립 하단을 눌러 올리면 톡 하고 빠져나오는데, 모션이 익숙해질 때까지는 천천히 진행하세요.

Close-up of hand disengaging a plastic clip at the base of the machine box.
To remove the outer cardboard sleeve, plastic clips at the box's base must be squeezed and pulled out to release the locking mechanism.

클립을 모두 해제하면 외부 슬리브를 위로 곧장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큰 상자를 들어 올릴 때는 균형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변에 사람이 있다면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진행하세요.

Woman sliding the large outer cardboard sleeve upwards from the machine.
After releasing the clips, the entire cardboard sleeve can be lifted straight up and off the machine's inner packaging.

PR 시리즈를 쓰시는 분들 사이에서는 후속 모델이나 다른 기종 정보도 함께 비교하시곤 하죠. 예를 들어 brother vr 같은 단침 모델과의 사용성 차이를 알아보면, 다침 PR 계열의 셋업 포인트를 더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폴리스티렌 보호층을 제거하면 본체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냅니다. 테이프로 고정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찢지 말고 부드럽게 분리하세요.

Close-up of the Brother embroidery machine inside its final polystyrene packaging layer.
The machine is finally revealed, encased in its last protective layer of polystyrene, ready for removal and placement on the stand.

첫 사용을 위한 조립 PR/VR 전용 스탠드 위에 본체를 올리고 네 모서리 볼트를 조여 고정합니다. 영상에서는 전용 스탠드(별매)를 사용해 수납과 안정성 모두를 확보했습니다. 볼트는 손으로 먼저 조인 뒤 제공 공구로 마무리하면 단단히 고정됩니다.

The Brother PR670E embroidery machine on its stand with plastic removed.
The Brother PR670E machine, with all packaging removed, stands ready on its official Brother stand, highlighting its multi-needle design.

다음은 운송 보호용 파란 테이프와 내부 고정재 제거입니다. 특히 바늘대 주변, 모션 파트 근처에 남은 테이프가 없도록 꼼꼼히 확인하세요. 남은 테이프는 작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Close-up of hands peeling blue protective tape from the machine's arm.
Protective blue tape, used to secure moving parts during transit, is carefully removed from the machine's arm.

스레드 스탠드는 상부의 보호용 골판지와 테이프를 제거한 뒤, 메인 보디를 수직으로 세웁니다.

Woman cutting tape on the cardboard housing for the thread stand at the top of the machine.
Scissors are used to cut the tape on the cardboard that protects the thread stand during shipping.

그런 다음 화면(디스플레이) 암을 전면으로 회전시켜 보기 좋은 위치로 가져와 베이스를 단단히 조여 주세요. 이때 제공 공구로 플라스틱 볼트를 조일 수 있습니다.

가로 스레드 가이드 암은 볼트를 약간 풀어 수평 위치로 돌린 뒤 다시 조여 고정합니다. 볼트가 뻑뻑하면 동봉된 드라이버를 사용하세요.

Close-up of hands loosening a bolt on the thread stand arm with a screwdriver.
A screwdriver is used to loosen a bolt, allowing the horizontal thread guide arm to be swung into its correct position.

베이스 보강 나사까지 끼워 추가 지지대를 마련하면 스탠드가 흔들림 없이 안정됩니다. 실 경로가 꼬이지 않도록 세팅 방향(수직→가로→텐션 경로)을 미리 머릿속에 그려 두면 좋습니다. 나중에 확장 액세서리를 고려하신다면 brother 자석 프레임 같은 옵션이 어떤 작업에 유리한지, 기기 호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보세요.

전원 온과 초기 설정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기기를 켭니다. 화면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자수 암이 이동해 초기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합니다. 언어 선택(영상에서는 English)과 간단한 초기 설정(예: 시계 설정) 안내가 이어지는데, 복잡하지 않으니 지시에 따라 진행하세요.

Close-up of the machine's display screen showing the calibration process.
Upon powering on, the machine performs an automatic calibration sequence, moving the embroidery arm to ensure accurate operation.

프로 팁

  • 전원 온 직후 암이 ‘정렬 춤’을 추듯 움직이는 것은 정상입니다. 주변에 간섭물이 없도록 작업 공간을 깨끗하게 유지하세요.
  • 화면의 메시지를 건너뛰기보다 하나씩 확인해 두면 이후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대조군으로 다른 모델의 동작을 참고해 보고 싶다면, 같은 PR 계열이나 brother pr 자석 자수틀 관련 사용 노하우를 찾아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실걸기와 보빈 장착 상단 스풀 핀 1번에 실을 꽂고, 실은 스풀에서 ‘수직으로 곧게’ 올라간 뒤 첫 가이드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어 텐션 다이얼을 안내선 그대로 한 바퀴 돌듯 감싸고, 상·하부 가이드를 따라 내려옵니다.

Close-up of hands guiding pink thread through the tension dial on the machine.
The pink thread is carefully guided through the tension dial, following its specific path to ensure correct thread tension.

각 바늘 번호(1~6)에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정확히 내려와야 하며, 바늘 위의 작은 와이어 가이드에 실을 통과시킬 때는 핀셋이 유용합니다.

Close-up of hands using tweezers to guide thread into the needle threader.
Tweezers are used to precisely guide the pink thread into the small wire guide just above the needle, prior to engaging the automatic threader.

마지막으로 자동 실끼우기 버튼을 눌러 실을 걸고, 남는 실을 트리밍해 정리합니다. 이 단계에서 ‘가이드 하나라도 놓치면 장력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참고로 다침 기계용 보조 후프나 마그네틱 프레임을 검토 중이라면, PR 시리즈 호환성 정보(예: mighty hoops for brother pr670e)를 제조사·공식 유통사 자료로 반드시 교차 확인하세요.

보빈은 액세서리로 제공되는 프리와운드 타입을 사용했습니다. 자석 코어가 있는 타입이라 올바른 방향을 잡기 쉽습니다. 핵심은 ‘보빈 실이 시계방향으로 풀리도록’ 케이스에 넣는 것입니다. 텐션 슬릿과 작은 클립 아래로 실을 통과시킨 뒤, 케이스 스핀들에 밀어 넣어 “딸깍” 소리가 나거나 완전히 결합된 촉감이 느껴지면 정상입니다. 남는 실은 약 4인치 길이로 잘라 앞쪽으로 정리합니다.

Close-up of hands demonstrating correct bobbin thread orientation in the bobbin case.
The bobbin thread must be placed so that it unwind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guided into the tension slit and clip.

주의: 반시계방향으로 넣으면 루프가 생기고, 실이 장력에서 벗어나도 ‘절단이 아니기 때문에’ 기계가 바로 감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자주 등장하는 원인이라 꼭 습관화하세요. 자수 작업을 확장하며 다양한 후프를 알아보실 때는 brother 자수틀의 규격과 장착 방법을 함께 숙지해 두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간단 체크

  • 실 경로: 스풀→수직 가이드→1차 가이드→텐션 다이얼(한 바퀴)→상·하부 가이드→바늘 위 와이어 가이드→자동 실끼우기
  • 보빈 방향: 시계방향 풀림 / 케이스 결합 시 ‘딸깍’ 확인
  • 화면: 전원 온 후 암 자동 캘리브레이션 완료 메시지 확인

자수 준비: 프레임/후프와 바늘 프레임 홀더 A를 장착합니다. 바늘대 하부의 금속 레일에 맞춰 슬라이드하면 위치 고정 핀이 맞물립니다. 이때 홀더의 세트 스크루를 적절히 조여 흔들림 없이 고정하세요.

Close-up view of the frame holder being slid onto the machine's metal track.
The frame holder is gently slid along the metal track beneath the needle bars, ensuring it aligns with the locating pins.

후프 폭은 홀더 측면의 큰 나사를 살짝 풀어 ‘노치’ 단위로 조절합니다. 사용하려는 후프를 가져와 대보고, 맞는 위치에 설정한 뒤 다시 조여 고정하세요. 너무 타이트하면 삽입이 어렵고, 너무 느슨하면 작업 중 흔들릴 수 있습니다.

Close-up of hands attaching an embroidery hoop to the machine's frame holder.
The embroidery hoop is slid underneath the metal flaps of the frame holder and pushed until it securely locks into place, ensuring it clears the needle bars.

영상에서는 후프를 장착할 때 바늘바에 닿지 않도록 평행을 유지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위쪽 금속 플랩 아래로 후프를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자리를 찾습니다. 이때 약간의 유격(wobble)은 ‘정상 설계’이며, 과도한 흔들림이 아니라면 문제 없습니다. 탈거는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린 뒤 수평을 유지하며 천천히 빼내세요. 후프·프레임 생태계를 넓히고 싶다면, 예를 들어 PR 계열의 모자 작업을 고려하며 brother pr680w 모자 자수틀 같은 키워드를 참고해 관련 옵션을 조사하는 것도 좋습니다.

바늘에 대해서도 한 가지. 이 기계는 ‘플랫 사이드(평평한 면)가 뒤로 가는’ 가정용 타입의 바늘을 사용합니다(영상에서는 HAx130EBBR #11 예시). 산업용 바늘은 호환되지 않으니, 확실치 않다면 제공 예비 바늘을 참조하거나 판매처에 문의하세요.

Close-up of a packet of HAx130EBBR #11 flat-sided domestic needles.
The Brother PR670E requires flat-sided domestic needles, such as the HAx130EBBR #11 type, and not industrial needles.

자석식 후프류를 검토하신다면 자수 장력·원단 두께, 프레임 강성 등 변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관련 검색으로 brother embroidery 자석 자수틀이나 brother pr 자석 자수틀을 살펴보되, 실제 호환은 반드시 공식 스펙을 통해 재확인하세요.

주의

  • 후프 장착/탈거 시 바늘바에 충격을 주지 마세요. 약간의 저항이 느껴지면 폭 설정부터 재점검하세요.
  • 프레임 홀더의 나사(특히 폭 조절 나사)는 장시간 사용 중 느슨해질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점검하세요. 확장 호환군(예: brother 자석 프레임) 사용 시에도 체결 상태 확인은 필수입니다.

댓글에서

  • “후프 유격은 정상인가요?” 영상 18분대에서 ‘정상 유격(wobble)’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덕분에 많은 사용자들이 안심했죠.
  • “보빈에 오일을 쳐야 하나요?” 해당 영상에서는 오일링 지침을 다루지 않습니다. 모델별 권장 주기는 취급 설명서 또는 공식 지원을 참고하세요.
  • “후프가 기본 동봉되나요? 와이드 테이블 익스텐션을 쓸 수 있나요? 구매 가능 상태인가요?” 영상은 초기 셋업에 집중하고 있어 구성품·액세서리 호환·재고 여부 등 판매 정보는 명시하지 않습니다. 판매처에 직접 확인하십시오. 자석형 후프를 찾는다면 자석 자수틀 for brother 같은 키워드로 검색 후, 기종별 호환 차트를 반드시 대조하세요.

마무리: 다음 단계 여기까지 오셨다면, 언박싱→스탠드 고정→스레드 스탠드 조립→전원 온/캘리브레이션→실걸기→보빈 장착→프레임/후프 결합까지 ‘첫 가동을 위한 준비’가 끝났습니다. 실제 자수 스티칭은 본 영상의 범위를 넘어가며, 크기/밀도/안정지 도구 선택 등 추가 학습이 필요합니다. PR 시리즈를 더 파고들며 확장 액세서리를 모색할 때는, 예컨대 mighty hoop brothersnap hoop for brother 같은 키워드로 사용자 사례를 찾아보되, 실제 적용 전 반드시 공식 문서와 판매처 상담을 통해 호환성·보증 조건을 재확인하세요.

체크리스트 요약 - 운송 보호재(파란 테이프/내부 폴리스티렌) 전량 제거 완료

- 스탠드 및 화면 암·스레드 스탠드 볼트 모두 조임 확인

- 전원 온→화면 터치→암 자동 캘리브레이션 완료

- 1번 경로 자동 실끼우기 성공, 남는 실 트리밍

- 보빈 시계방향 풀림, 케이스 ‘딸깍’ 체결, 4인치 트리밍

- 프레임 홀더 A 장착/폭 노치 설정, 후프 정상 유격 확인

문제 해결 힌트 - 실이 자꾸 끊기거나 루프가 심하면: 상단 경로의 가이드를 하나라도 놓치지 않았는지, 텐션 다이얼을 정확히 한 바퀴 감았는지 확인하세요.

- 자동 실끼우기가 실패하면: 바늘 위 와이어 가이드 통과가 정확했는지, 핀셋으로 경로를 곧게 잡았는지 점검하세요.

- 후프 삽입이 뻑뻑하면: 폭 노치 위치를 한 칸 넓혀 보고, 바늘바와의 간섭을 없앤 상태에서 다시 수평으로 밀어 넣으세요.

이후 권장 학습

  • 화면 편집, 스티치 아웃, 소재별 안정지 선택 등 심화 사용은 제작사의 자세한 매뉴얼과 추가 튜토리얼 영상을 참고하세요. 다른 PR 시리즈 사용자 경험을 참고할 때는 mighty hoops for brother 같은 키워드를 통해 노하우를 모으되, 실제 적용은 기종별로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세요.

참고 이미지 모음 - 박스 사이즈와 작업 공간 요구

- 스트랩 컷과 초기 개봉 동작

- 액세서리 트레이/클립 해제

- 보호재 제거와 스탠드 고정

- 스레드 스탠드 조립과 볼트 조정

- 프레임 홀더/후프/바늘 규격 포인트

- 전원 온과 캘리브레이션, 실걸기/보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