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NINA 실소유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스레드 캐처 청소와 유지보수 리셋 완벽 정리

· EmbroideryHoop
BERNINA 실소유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스레드 캐처 청소와 유지보수 리셋 완벽 정리
BERNINA 7/5/대부분 4 시리즈 재봉기의 ‘Clean your thread catcher’ 알림을 깔끔하게 해결하는 실전 안내입니다. 설정 메뉴 진입부터 스레드 커터 사이클 수 확인, 노루발·바늘·바늘판 분해, 스레드 캐처 이동·청소·복귀, 카운터 리셋, 그리고 갈고리 오일링까지—영상 흐름 그대로 안전수칙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캔에어는 절대 금지, 부드럽게 브러싱이 핵심!

교육 목적의 해설만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는 원 저작물에 대한 학습용 노트이자 해설입니다. 모든 권리는 원 저작자에게 있으며, 재업로드·재배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원본 영상은 제작자의 채널에서 시청해 주세요. 더 많은 튜토리얼을 위해 구독으로 응원해 주시면, 한 번의 클릭이 더 명확한 단계별 데모, 더 나은 카메라 앵글, 실제 테스트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아래 «구독» 버튼을 눌러 응원해 주세요.

당신이 원 저작자이고 이 요약의 내용 수정·출처 추가·일부 삭제를 원하신다면, 사이트의 문의 양식을 통해 연락해 주세요.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Clean Thread Catcher’ 경고, 정확히 무엇일까
  2. 1단계: 유지보수 메뉴로 들어가기
  3. 2단계: 청소 준비—분해는 안전하고 간단하게
  4. 3단계: 스레드 캐처 청소와 복귀
  5. 4단계: 유지보수 카운터 0으로 확인
  6. 절대 하지 말 것: 캔에어 사용
  7. 보너스 팁: 갈고리 오일링 포인트
  8. 문제 해결 가이드
  9. 간단 체크
  10. 프로 팁
  11. 댓글에서

영상 보기: BERNINA Jeff Tip #7 Cleaning The Thread Catcher — BERNINA Jeff

스레드 커터를 누를 때마다 기계가 알아서 잘라주는 그 ‘보이지 않는 손’—바로 스레드 캐처입니다. 어느 날 “Clean your thread catcher(스레드 캐처 청소)”라는 메시지가 뜬다면, 두려워하지 마세요. 이 글은 영상의 단계 그대로 따라 하며, 안전수칙과 복구 방법, 마지막 카운터 리셋까지 확실히 끝내는 길잡이입니다.

  • 이번 글은 BERNINA 7/5/대부분 4 시리즈에 적용됩니다. (영상 예시는 B 790 Plus)

- 스크린 경로, 분해와 청소, 복귀, 리셋 확인, 오일링까지 모두 다룹니다.

Title card for the video: 'BERNINA Jeff Tip #7 Cleaning The Thread Catcher'.
The video opens with a title card identifying the topic.

문제를 바로 해결하는 요령

  • 메뉴 어디서 카운터를 확인하고, 숫자가 왜 줄지 않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 바늘·노루발·바늘판을 안전하게 탈착하고, 스레드 캐처를 꺼내 청소하는 전 과정을 배웁니다.
  • 메시지가 사라지지 않을 때, 캐처가 움직이지 않을 때의 간단 점검 포인트를 익힙니다.
  • 부드러운 브러싱의 기준과 캔에어 금지 이유를 명확히 알게 됩니다.

‘Clean Thread Catcher’ 경고, 정확히 무엇일까 스레드 캐처는 자동 실자르기와 함께 작동하는 작은 금속판 조합으로, 잘린 실을 잠시 잡아 다음 바늘질이 깔끔하게 시작되도록 돕습니다. 바늘판 아래에서 일어나는 일이라 보풀이 쌓이기 쉽고, 기계는 커터가 작동할 때마다 한 번씩 ‘사이클’을 카운트합니다. 일정 횟수에 도달하면 청소 알림이 뜨죠.

왜 지금 청소해야 할까요? 보풀과 잔사가 캐처의 슬라이딩을 방해하면 실을 제대로 잡지 못하거나 잘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고를 무시하면 메시지는 사라지지 않고, 스티치 품질에도 악영향을 줍니다.

1단계: 유지보수 메뉴로 들어가기 먼저 기계 화면의 톱니바퀴 두 개 아이콘, 즉 Settings(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이어 재봉기 아이콘을 선택하고, 동그란 ‘i’(정보) 아이콘으로 진입하세요. 여기서 V10 정보를 선택하면, ‘Total number of cut cycles since cleaning(청소 후 커터 사이클 수)’가 표시됩니다. 영상에서는 60으로 보입니다. 이 숫자가 충분히 누적됐다면 청소 시점입니다.

A finger pressing the settings icon (two gears) on the Bernina sewing machine's touchscreen.
To begin, access the main settings menu by pressing the gear icon.

정보 화면은 단순해 보이지만, 여기서 현재 상태를 가늠하고 청소 후 결과를 검증하는 기준이 됩니다. ‘몇 번이나 잘랐는지’가 바로 유지보수 타이밍이기 때문입니다.

A finger selecting the information icon (a circle with an 'i') from a grid of six icons.
Within the machine settings, select the information icon to view system details and statistics.

참고로 V10에서 보이는 수치는 모델과 소프트웨어 버전에 따라 표시 위치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로는 대체로 Settings > Machine > Info > V10 흐름을 따릅니다.

The machine information screen showing 'Total number of cut cycles since cleaning' is 60.
The information screen displays key metrics, including the thread cutter cycle count, which indicates when cleaning is due.

2단계: 청소 준비—분해는 안전하고 간단하게 이제 뒤로 나와 재봉기 아이콘 > 렌치(스패너) > 빗자루 아이콘 순서로 ‘스레드 캐처 청소’ 가이드를 엽니다. 이 화면은 단계별 지시를 제공하므로, 그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A finger selecting the cleaning icon, which is a broom, on the machine's maintenance screen.
To start the guided cleaning process, select the broom icon from the maintenance menu.

먼저 노루발과 바늘을 제거합니다. 바늘은 동봉된 툴(일명 바늘 드라이버)을 사용해 천천히 풀고, 바늘 그랩버(집게형 보조 도구)를 쓰면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손이 크거나 좁은 공간이 불편한 분께 특히 유용합니다.

Using a red-handled needle grabber tool to hold and remove the sewing machine needle.
A special needle grabber tool is used to securely hold the needle while it is being removed, preventing it from dropping.

다음으로 피드독을 내리고 바늘판을 분리합니다. 팁은 ‘원형 타겟(동심원 표시)’ 두 지점을 꾹 눌러 잠금 해제한 뒤, 밀어내기보다는 위로 들어 올리듯 몸 쪽으로 당겨 빼는 것. 뒤로 미는 힘이 너무 크면 판이 턱에 걸려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Two fingers pressing down on the concentric circles marked on the stitch plate to release it.
The stitch plate is released by pressing down firmly on the designated circular targets, which unlatches it from the machine bed.

주의

  • 바늘 고정 나사를 ‘꽉’ 조이지 마세요. 나사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바늘판은 억지로 밀지 말고 ‘위로 들어올리기 + 몸 쪽으로’가 핵심입니다.

3단계: 스레드 캐처 청소와 복귀 이제 화면에서 파란 밑줄 링크 ‘move the thread catcher out(스레드 캐처 꺼내기)’를 선택하고, 기계 헤드의 가위(자동 스레드 커터) 버튼을 눌러 캐처를 오른쪽으로 나오게 합니다.

A finger touching the blue underlined link 'move the thread catcher out' on the screen.
The first part of moving the mechanism is selecting the 'move the thread catcher out' link in the on-screen instructions.

캐처가 이동해 내부가 노출되면, 핀셋으로 큰 실덩어리나 보풀을 먼저 제거합니다. 그 다음, 작은 브러시로 아주 부드럽게 쓸어주세요. 여기에는 작은 스프링과 움직이는 부품들이 있어, 과한 힘으로 문지르면 부품이 들리거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습니다.

A finger pressing the thread cutter button (scissors icon) on the head of the sewing machine.
After selecting the link on screen, pressing the physical thread cutter button moves the internal mechanism into the open position for cleaning.

프로 팁 - 브러시는 ‘팔 힘’이 아니라 ‘손끝’으로. 털의 끝으로 살살 쓰는 느낌이면 충분합니다. 과한 동작은 오히려 문제를 만듭니다.

A small white brush gently sweeping lint out of the exposed thread catcher mechanism.
With the thread catcher mechanism exposed, a lint brush is used to gently sweep away accumulated debris. Care must be taken to avoid dislodging small springs.

절대 하지 말 것: 캔에어 사용 영상에서도 반복 강조합니다. 캔에어 또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 행동은 보풀을 더 깊은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어 금물입니다. 전자부나 기어 근처로 미세 먼지가 쌓이면 더 큰 수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A text overlay on the video that reads 'NEVER use canned air'.
A critical safety warning is displayed: never use canned air to clean the machine, as it can push lint deeper inside.

캐처 복귀와 재조립 청소가 끝났다면, 화면의 ‘move the thread catcher in(스레드 캐처 넣기)’ 링크를 다시 선택하고 가위 버튼을 눌러 캐처를 왼쪽 홈 포지션으로 되돌립니다.

A finger touching the 'move the thread catcher in' link on the touchscreen.
To reset the mechanism, select the 'move the thread catcher in' link on the screen before pressing the cutter button again.

바늘판은 오른쪽에서 약간의 각도를 주고 들여놓은 뒤, 왼쪽의 두 핀에 맞춰 얹고 가운데를 눌러 ‘딸깍’ 고정합니다. 피드독을 올리고, 바늘을 다시 장착합니다(평평한 면이 뒤로 가도록). 바늘 나사는 살짝 단단할 정도까지만 조여 주세요. 마지막으로 노루발을 장착하면 조립 완료입니다.

Hands carefully aligning the stitch plate at an angle to reinstall it onto the machine.
The stitch plate is reinstalled by aligning it with pegs on the left side and then snapping it down into place.

주의

  • 바늘판은 정렬 확인 후 눌러 고정하세요. 힘으로 밀어 넣다간 클립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 바늘 고정 나사는 과조임 금지. 부품 파손 위험이 큽니다.

4단계: 유지보수 카운터 0으로 확인 다시 Settings > Machine > Info > V10 화면으로 가면, ‘Total number of cut cycles since cleaning’이 0으로 초기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고 메시지도 사라집니다. 만약 0으로 바뀌지 않았다면, ‘캐처 이동–청소–복귀’의 전체 절차를 시스템이 인식하지 못했을 수 있으니 재시도하세요.

The machine's information screen now shows that the 'Total number of cut cycles since cleaning' is 0.
After completing the cleaning routine, the information screen confirms the cycle counter has been successfully reset to zero.

간단 체크

  • 0이 되었나요? 리셋 완료입니다.
  • 피드독이 바로 안 올라와도, 첫 바늘 회전에서 정상 위치로 올라옵니다.
  • 청소 후 실 절단이 매끄러워졌는지, 시작 스티치가 깔끔한지 확인하세요.

보너스 팁: 갈고리 오일링 포인트 영상 말미의 팁도 놓치지 마세요. 바늘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바늘 아래쪽에 보이는 아주 반짝이는 갈고리(hook) 팁에 재봉기 오일 한 방울. 과다 사용은 금물입니다. 오일은 소리와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마모를 줄여 줍니다.

The long metal tip of an oiler bottle dispensing a single drop of oil onto the shiny hook mechanism.
As a bonus tip, a single drop of oil is applied to the shiny hook tip to ensure smooth operation.

프로 팁

  • 자주 바느질한다면, ‘바늘이 실제로 움직인 시간’ 기준 2시간마다 한 방울 생각하기(영상 댓글의 팁). 매일 작업 전 한 방울도 좋은 습관입니다.

문제 해결 가이드 1) 파란 링크가 안 보여요 / 눌러도 캐처가 안 움직여요

  • 화면의 ‘move out/in’ 링크를 누른 뒤 가위 버튼을 정확히 눌렀는지 확인합니다.
  • 가위 버튼 누른 상태에서 손바퀴를 아주 살짝 돌려 이동을 유도해 보세요.
  • 기계를 재부팅하고, 최신 펌웨어 여부를 확인하세요. 반복되는 다중 기어 에러가 있다면 기술 점검이 필요합니다.

2) 청소를 마쳤는데 카운터가 0으로 안 바뀝니다

  • ‘캐처 꺼내기 → 청소 → 캐처 넣기 → 재조립’의 전 과정을 시스템이 인식해야 합니다. 링크 선택 후 가위 버튼을 눌러 실제 이동이 있었는지 다시 확인하고, 한 번 더 절차를 반복해 보세요.

3) 실이 잘 안 잘리거나, 하부실이 뻑뻑하게 잡아당겨져요

  • 보풀이나 실 조각이 슬라이딩 경로에 남아 있지 않은지 핀셋으로 재점검하세요.
  • 반복 시 특정 부품 정렬 문제가 의심되므로 서비스 점검을 권장합니다.

4) 작업 중 멈출 때 자동으로 실이 잘립니다

  • 풋컨트롤러 설정에 ‘실자르기’가 할당되었을 수 있습니다. 하트 기능이 아닌 바늘 올림/내림으로 재설정하세요(영상 댓글 답변 참고).

주의

  • 내부에 바람 불기/캔에어 사용은 절대 금지.
  • 브러싱은 부드럽게. 작은 스프링이 들릴 수 있습니다.
  • 바늘 고정 나사를 과도하게 조이지 마세요.

댓글에서

  • “영상 덕분에 처음으로 바로 성공했다”는 피드백이 다수. 간단하지만 놓치기 쉬운 ‘링크 선택 후 가위 버튼’의 순서가 결정적이었습니다.
  • “파란 링크가 안 보인다”, “버튼을 눌러도 안 움직인다”는 질문에는 ‘손바퀴를 살짝 돌려 이동 유도’와 ‘재부팅·펌웨어 확인’ 조언이 이어졌습니다.
  • “청소 후에도 0이 안 된다”는 경우, ‘캐처 이동–청소–복귀’ 전 과정을 시스템이 인식해야 리셋되는 점을 재확인하세요.
  • “하부실이 잘 안 잘린다/뻑뻑하다”는 경우, 잔사 제거를 재확인하고 반복 시 기술 점검을 권장했습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기계적 문제를 고쳐주지는 않습니다.
  • 풋컨트롤러로 실이 잘리는 현상은 설정으로 해결된 사례가 있습니다.

참고: BERNINA 액세서리와 확장 작업을 고민 중이라면 자주 자수 작업을 한다면 바늘판 아래 청소 빈도가 잦아집니다. 자수틀/프레임 선택과 관리도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요.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참고해 호환 정보를 찾아보세요. 필요 시 공인 대리점 권장 액세서리를 이용하면 유지보수 역시 수월해집니다.

  • bernina 자석 자수틀
  • 자석 자수틀 for bernina
  • 자석 자수틀 for bernina 자수 기계

이전 작업으로 돌아가기 전에

  • 실 경로에 걸림이 없는지, 상·하실 텐션이 안정적인지 한 번 더 확인하세요. 스레드 캐처가 매끈히 움직이고 첫 스티치가 깔끔하면 잘하신 겁니다.

- 청소 주기는 ‘커터 사용량’이 좌우합니다. 특히 자수 모드에서는 커터 사용이 잦으므로 알림이 자주 뜰 수 있어요. 규칙적인 브러싱과 가벼운 점검 습관이 최고의 예방입니다.

휘뚜루마뚜루 체크리스트 - 설정 > 재봉기 > 정보(V10)에서 커터 사이클 수 확인 완료?

- 노루발·바늘·바늘판 안전 분해 완료?

- ‘move out’ 링크 + 가위 버튼으로 캐처 이동 확인?

- 핀셋·브러시로 잔사 제거(부드럽게) 완료?

- ‘move in’ 링크 + 가위 버튼으로 복귀 확인?

- 재조립 후 카운터 0 확인?

- 필요 시 갈고리 오일 한 방울?

마무리 스레드 캐처 청소는 “링크 선택 → 가위 버튼 → 부드러운 브러싱 → 복귀 → 리셋 확인”의 흐름만 이해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작은 습관이 큰 고장을 예방합니다. 오늘 바로 한 번, 영상과 함께 차근차근 따라 해 보세요.

주의(요약)

  • 캔에어/불기 금지
  • 바늘 나사 과조임 금지
  • 브러싱은 섬세하게

보너스: 자수 프레임 관리 팁 - 자수 작업 중 보풀이 많이 발생하는 소재(기모, 플란넬 등)를 쓸 때는 더 자주 청소하세요. 프레임 장착과 탈착 시 실 잔사가 끼지 않게 주변 청결을 유지하면 캐처에도 이롭습니다. 장시간 대량 자수 시엔 중간 점검을 습관화하세요.

덧말

  • 자수 프레임 정보 탐색 시에는 브랜드/기종 호환을 먼저 확인하세요. 검색 키워드 예시: bernina 자석 자수틀 sizes